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 속 ‘여협(女俠)’ 형상과 그 의미

이용수 155

영문명
The Personification of Women's Chivalry[女俠]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Intermediality of Literature and Painting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채은(Lee Chae-e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4권, 221~25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여성 협객 인물이 남성들을 주 향유층으로 하는 문학과 회화에서 각각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며, 그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해 짚어본 것이다. 여협(女俠)에 대한 동경은 조선 후기 남성들 사이에서의 하나의 문화적 현상이었다. 안석경의 <검녀>나 임매의 <여협>과 같은 한문 단편 뿐 아니라 <구운몽>과 같은 소설 속에서도 여협적 기질을 지닌 주인공들의 활약이 두드러졌고, 비슷한 시기에 이러한 여협 인물은 윤두서, 이재관, 김홍도, 백은배 등에 의해 회화로도 그려졌다. 그러나 문학과 회화에서의 여협은 형상화 방식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여협 문학은 여성의 남장, 복수, 검술의 연마과정 등이 문법화되어 드러나며 협행을 실천하는 여성의 몸을 시간 속에서 기록하지만 회화는 그러한 서사적 문법이 삭제된 채 공중에 사뿐히 날아오르는 여성의 미학적인 몸을 환상적으로 포착한다. 이는 여협 문학이 당대 실제 여성 협객들이 활동한 사건과 공명하며 이념적 명분과 개연성을 충분히 획득하는 방향으로 직조되는 반면 여협 회화는 그것으로부터 자유롭게 환상적인 방향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런가 하면 문학과 회화 모두 여성 협객의 존재와 협행을 남성들의 응시를 통해 그려낸다는 점에서는 공통되며, 또한 두 매체 모두 ‘도검’을 주 무기로 활용하는 여성들을 등장시킨다는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사실은 ‘도검’이 그 주인의 진가를 알아보는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여겨져 당대 문인 남성들에게 특별히 애호되었다는 점과 연관된다. 특히 문학 작품 속의 주인공 여협들은 주변적 인물인 남성들과 서로 존재의 가치를 알아봐주고 인정하는 관계를 맺고 있다. 본고의 작업은 크게는 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의 상호매체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여협 문학과 여협 회화의 관계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여협 예술’을 향유하던 남성들이 지닌 다양한 욕망들-여성들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인정욕망까지-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Women's chivalry[女俠]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embodied in literature and painting with men as the main group, and examined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 yearning for Women's chivalry was a cultural phenomenon among 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hn Seok-kyung's ‘The Sword Girl[劍女]’ and Im mae's ‘The female chivalrous[女俠]’, the main characters of the women's chivalry were prominent,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painted repeatedly by Yoon Doo-seo, Lee Jae-kwan, Kim Hong-do, and Baek Eun-bae. Literature describing Women's chivalry represent women's bodies practicing chivalrous in time, with women's male attire, revenge, and polishing processes revealed in grammar, but paintings are fantastically captured with women's aesthetic bodies lightly flying in the air. This means that while women's chivalry is woven in a way that resonates with the actual women's association of the time and acquires sufficient ideological justification and probability in literature, while painting is freely created from it in a fantastic direction. This difference when the same theme of Women's chivalry is embodied in literature and painting, and two art genres clearly stems from the qualities of the two media. In common in literature and painting, the existence of female chivalry exist as objects of men's gaze, but such gaze is expressed in a more starkly different direction depending on the medium. In addition, in both literature and painting, the swords were appeared as the main weapon. The women's chivalry and the swords have the similarity, because both of them can recognizing the owner's true value, and only can be worked for their owners. therefore it is in line with the nature of the women's chivalry who collaborate for male owners.

목차

1. 서론
2. 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 속 여협의 형상화
3. 여협 형상의 상호매체적 구현과 향유의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은(Lee Chae-eun). (2022).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 속 ‘여협(女俠)’ 형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1-254

MLA

이채은(Lee Chae-eun). "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 속 ‘여협(女俠)’ 형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2): 221-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