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0

영문명
A Study on the Status and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Office Work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최서연(Choi Seo Yeon) 나민오(Na Min Oh) 김영식(Kim Young Sik) 정원일(Jeong Won Il)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6호, 79~89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행 산업안전보건법령은 사무직에 종사하는 근로자만을 사용하는 사업(시행령 별표1)에 대해서는 법 제32조의 정기 안전보건 교육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다. 다만,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종사자에 대해서는 매 분기 3시간 이상의 정기 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시행규칙 별표4). 그러나 사무직종에 근무하는 근로자도 장시간 근로, 감정노동, 근골격계질환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며, 안전보건 교육의 필요성이 적지 않다고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사무직 종사자를 일반 사무직(본사 등)과 현장 사무직(공장, 현장 등)으로 분류하여 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안전보건 교육의 필요성과 경제적 효과를 검증하여 교육 대상 확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무직 종사자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수행 후 빈도분석과 다중응답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안전보건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8년도 사업장 안전보건 실태조사와 2019년도 산업재해 통계 재해율을 이용하여 사무직 종사자의 교육이 산업재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계수화하고 산재감소 효과에 대한 편익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일반 사무직의 사고 경험과 사고나 질병에 관한 인식이 현장 사무직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안전보건 교육의 실시 주체는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관리자 등으로 내부 직원에 의한 교육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 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은 89.4%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기 안전보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 시간의 탄력적 운영, 교육 횟수 증가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소규모 사업장의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외부 수탁 교육지원’을 확대하고, 정기 안전보건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 ‘안전보건 교육실시 확인’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교육을 실시하는 사업장이 교육을 시행하지 않은 사업장에 비교하여 산업재해 예방의 효과가 높게 나타나 재해 발생과 근로 손실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장 외에 일반 사무직 종사자에게도 안전보건 교육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업장의 특성에 맞는 교육의 탄력적 운영과 사업장 실시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does not apply the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visions of Article 32 of the Act to businesses that employ only office workers. However, it is stipulated that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f at least 3 hours per quarter is required for office workers working in the field. However, office workers are also at risk of being exposed to long hours of work, emotional labor,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t seems that there is no small need fo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office workers into general office workers and field office workers,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to verify the necessity and economic effec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use it as evidence for expanding the subject of education. In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f office work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123 office worker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Second, to confirm the effec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using the 2018 workplace safety and health survey and the 2019 industrial accident statistics accident rate, we quantified the effect of education for office workers on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estimated the benefits of the effect of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general office workers' accident experience and awareness of accidents and diseas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n-site office workers, and the subject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ere supervisor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education was mainly provided by internal employees. The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as high at 89.4%, and the need for flexible operation of training hour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o vitalize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as found to be high. In particular, there was a high awareness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outsourced education support’ for revitalization of education in small businesses and to manage ‘confirmation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regula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ompared to workplaces that do not provide training, the effect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is higher, and thu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accidents and labor los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erception that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for general office workers in addition to the field, and it was identified that flexible operation of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nd management of workplace implementation were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서연(Choi Seo Yeon),나민오(Na Min Oh),김영식(Kim Young Sik),정원일(Jeong Won Il). (2022).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6), 79-89

MLA

최서연(Choi Seo Yeon),나민오(Na Min Oh),김영식(Kim Young Sik),정원일(Jeong Won Il). "사무직 종사자의 안전보건 교육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6(2022): 79-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