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이용수 138

영문명
Childcare Teachers' Break Time Operation Situation and Policy Requirement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지성화(Ji Sung Hwa) 김성현(Kim Seong Hyu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6호, 59~7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휴게시간 의무 정책 시행이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활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운영 실태와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한 정책요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어린이집 유형, 규모, 교사경력 등 어린이집 배경변인에 따라 구분하여 깊이 있게 분석하여 앞으로 보육교사 휴게시간의 운영이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보완될 수 있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보육관련 교수 3명, 보육교사 5명의 문항 이해도, 내용 적합도 등을 재검증하여 최종 연구 도구인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한 설문지는 총 15문항으로 일반적인 배경 6문항, 휴게시간 운영 실태 7문항, 휴게시간 운영 내실화 정책 요구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 총 303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카이-자승분석(χ2)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활용 횟수는 휴게시간을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39.6%로 나타나 매일 사용한다는 17.5%의 수치 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휴게시간 활용 시간대는 낮잠시간, 특별 활동시간과 보육 일과시간,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게시간 사용 방법은 2담임 반 파트너 교대, 1담임 반 보조교사 지원, 3담임 반 파트너 교대, 1담임 반 원장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현장에서 휴게시간 시 활용하는 장소는 교실, 교사실, 유희실, 외출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기록 방법은 체크리스트 서류 작성, 일지에 기록, 원장에게 보고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휴게시간 활용 시 하는 일은 서류 업무, 휴식, 어린이집 공동 업무, 개인사 생활 업무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휴게시간을 계획하였지만 주기적으로 시행이 되지 않는 이유는 많은 업무로 인해, 영유아의 안전으로 인해, 원장의 미 지원으로 인해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보장받고자 하는 휴게시간은 휴게시간 없었으면 함, 1시간 보장, 2시간 보장 순으로 나타났다. 아홉 번째, 휴게시간 운영 내실화를 위한 정책적인 요구는 휴게시간과 관련된 체계적인 세부지침 마련, 실제적인 업무 경감, 휴게시간 없이 9 ~ 5시 퇴근 보장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영유아의 발달 및 건강·안전과 직결될 수 있는 보육교사 휴게시간 의무화 정책이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현장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어린이집 유형별 지원 정책을 세부적으로 작성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반영된 상태에서 정책이 진행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operational status and policy requirements for sound operation on whether the use of nursery teachers' rest time is working well after 3 year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datory policy of children's home rest hours. It is to analyze in dept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children's home, such as the type of nursery, the size, and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flecting after that the operation of the nursery teacher rest time can be supplemented by effective policies in the futu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the final research tool, was developed by re-verifying the literature analysis, the understanding of questions from 3 childcare-related professors and 5 childcare teachers, and content relevance. The final develop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questions, consisting of 6 questions on general background, 7 questions on the actual status of the break time operation, and 2 questions on the policy request for improvement of break time oper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nurse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nd the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χ2 tes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Number of times for breaks was 39.6%,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17.5%, who used it every day. Second, the use of recess time was found in the order of nap time, special activity time, childcare routine, and other activities. Third, the method of using the break time was shown in the order of replacement of the partner of the second homeroom class,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of the first homeroom class, the change of the partner of the third homeroom class, and the support of the class leader of the first homeroom. Fourth, the places used for break time at daycare centers were in the order of classroom, teacher's room, game room, and going out. Fifth, the methods of recording childcare teachers’ break time were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writing checklist documents, recording in diaries, and reporting to the director. Sixth, the works done during the break time were found in the order of paperwork, rest, daycare center joint work, and personal life work. Seventh, the reasons why a break time was planned but not implemented periodically were due to many tasks, safety of infants and children, and non-support from the director. Eighth, the guaranteed break time was shown in the order of no break time, 1 hour guarantee, and 2 hour guarantee. Ninth, the policy demands for substantiating break time operation were found in the following order: preparation of systematic detailed guidelines related to break time, practical work reduction, and guarantee of leaving work from 9 to 5 o'clock without break time. In order to stabilize the policy of obliging childcare teachers to take breaks, which can be direc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health and safe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write a detailed support policy for each type of daycare center, and comprehensively reflect this policy. suggest that it needs to be improv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성화(Ji Sung Hwa),김성현(Kim Seong Hyun). (2022).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안전문화연구, (16), 59-77

MLA

지성화(Ji Sung Hwa),김성현(Kim Seong Hyun).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운영 실태 및 정책요구." 안전문화연구, .16(2022): 59-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