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遼南地域 漢墓 硏究

이용수 123

영문명
A Reconsideration of the Han tombs in Liaonan Region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조원진(Cho Wonchin) 하문식(Ha Moonsi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白山學報 第122號, 105~1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동지역 한묘에 대한 성격 규명의 일환으로 영구지역의 조사자료를 검토하였다. 영구지역은한묘가 축조된 당시의 시대 배경에서 요동군의 정체성은 물론 고조선의 강역 문제, 초기 고구려의흥기와 관련 있는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구지역 한묘에 관한 조사와 연구 성과를 분석하면 축조 시기는 3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는 서한 전기~중기로 주로 패각묘가 축조되었으며 개주 광영촌 3호가 대표적이다. 2기는 서한후기로 승문 전실묘가 조영되었고 대표적으로 개주 사구 한묘 유적이 있다. 3기는 동한 중기~후기로 화문 전실묘가 축조되었는데 대표 무덤으로는 개주 구롱지 한묘와 동달영 1호 한묘가 있다. 또한 승문전으로 축조한 무덤은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지만 화문전으로 축조한 무덤은 주로 벽류하 서쪽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무덤에 껴묻기된 부장 유물은 토기가 대부분이고 철기와 동기 그리고 화폐 등으로 구분된다.토기의 종류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사용하던 같은 기종이 대부분이며 영구 승리촌 한묘에서는 도정(陶鼎)이, 개주 의민촌 한묘에서는 채회 도정이 출토되었다. 또한 도제 명기로는 창고형 토기를비롯하여 부엌형 토기, 우물형 토기, 화장실형 토기가 무덤방의 특정한 곳에 껴묻기되어 있었다. 화폐는 오수전과 화천이 대부분이며 반량전, 화포, 소천직일 등이 있다. 그런데 오수전은 한 무제때 주조된 것과 동한 후기에 다시 주조된 것이 함께 출토되고 있어 시기 변화를 알 수 있다. 한편 개주 의민촌 한묘에서 조사된 동인에 새겨진 음하(陰賀)는 무덤의 주인공을 요동군의 평곽현 행정관원 혹은 지방 유지로 해석할 수 있게 하여 무덤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참고가 된다. 중국 학계에서는 대체로 영구지역의 전실묘를 요동군 속현인 평곽현, 안시현, 문현과 관련시키고 있다. 또한 서한 전기ㆍ중기의 영구지역 패각묘도 요동군 지배와 관련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중원계 유이민이 위만조선 지역에 지속적으로 유입된 사실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견해는보다 많은 자료를 제시해야 하며 상세하고 객관적인 해석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Han tombs distributed in Yingkou district of northeast China. The Han tombs of Yingkou district are important research objects in Korean history because they are related to the territorial problem of Gojoseon and the founding of the early Goguryeo.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results so far,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Han tombs in Yingkou district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first period, from the early to mid-term period of Western Han, shell-chambered tombs were mainly built, and Gaizhou Gungrongcun No. 3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the second period, the latter part of Western Han, the brick-chambered tomb of braid pattern was constructed and there is the remains of the Han tombs in Gaizhou Shagouzi. The third period was the middle to late period of the Eastern Han when the brick-chambered tombs of marked flowers were built. The three tombs were built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the Donghan, and the representative tombs of this period include the Han tomb of Gaizhou Jiulongdi and Dongdaying No. 1. Most of the burial artifacts are pottery and the others are divided into irons, bronzes, and coins. The type of pottery is the same type used in daily life. The pottery well was excavated from the Han tombs at Yingkou Shenglicun, and the colour-painted pottery well was excavated from the Han tombs at Gaizhou Yimencun. Among the pottery, warehouse type pottery, kitchen type pottery, well type pottery, and toilet type pottery were excavated. Most of the pottery was placed in a special place in the tomb. For coins, Wuzhuqian, Huoquan, and Banliangqian were excavated. If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of about 100 Han tombs distributed in the district of Yingkou is conducted in earnest, there will be more clear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영구지역 주요 한묘
Ⅲ. 영구지역 한묘의 분포와 부장품
Ⅳ. 한대 요동지역의 정치적 변동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진(Cho Wonchin),하문식(Ha Moonsig). (2022).遼南地域 漢墓 硏究. 백산학보, 122 (1), 105-132

MLA

조원진(Cho Wonchin),하문식(Ha Moonsig). "遼南地域 漢墓 硏究." 백산학보, 122.1(2022): 105-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