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병원선의 파견과 활동

이용수 75

영문명
Detachment and Activities of Hospital Ships During the Korean War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이창영(Lee Changyo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105~1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전쟁기 병원선의 활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군사지원 결의를 통해 시작되었다. 한국전쟁 당시 의료지원국으로 활동한 국가는 이탈리아, 인도,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였다. 이 중 병원선을 파견한 국가는 덴마크였다. 미국은 군사지원과 함께 병원선 세척을 파견했다. 각 병원선은 MS Jutlandia(덴마크), USS Consolation(AH-15), USS Haven(AH-12), USS Repose(AH-16)(이상 미국)였다. 네 척의 병원선은 한국전쟁 전반에 걸쳐 의료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했다. 이들의 활동은 크게 군 의료지원과 민간인 치료 및 구호로 나뉜다. 병원선은 최신식 시설을 갖추고 부상자에 대한 수술 및 치료를 진행했다. 부상자 중 치료가 더 필요한 장병은 후방 지대인 부산, 일본 등으로 후송되었으며, 일정 기간에 한번 본국에 귀국하기도 하였다. 네 척의 병원선은 헬리콥터 플랫폼을 설치하면서 더욱 진일보한 의료지원을 할 수 있었다. 한편 민간인들에 대한 치료 및 구호도 진행되었다. 특히 고아에 대한 구호가 많이 진행되었다. 해군 장병들은 고아원에 구호금을 모아 전달하기도 했고, 고아들을 초청하여 선상에서 파티를 열고, 치료를 해주기도 했다. 전쟁 기간 병원선의 치료를 받은 환자는 군과 민간을 합쳐 대략 20만 명이 넘는다. 병원선은 질적으로도 굉장히 우수한 치료를 선보였다. 병원선은 죽어가는 부상병들이 실려 오는 공간임과 동시에 부상병과 민간인에 대한 치료 구호가 이루어지는 이중의 공간이었다. 치료 및 구호자들은 이러한 광경을 지켜보았다. 그럼으로써 병원선은 전쟁의 파괴자적 모습과 구원자적 모습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공간 중 하나가 되어 갔다.

영문 초록

During the Korean War, the hospital ship began with a resolution of military support by the UN Security Council. The countries that served as medical support countries during the Korean War were Italy, India, Denmark, Sweden, and Norway (West Germany is post-war and recognized as medical support countries in 2018). Among them, Denmark sent hospital ships. The United States dispatched hospital ships with military support. Each hospital ship was MS Jutlandia (Denmark), USS Consolation (AH-15), USS Haven (AH-12), and USS Repose (AH-16) (USA). Four hospital ships actively carried out medical activities throughout the Korean War. Their activities are largely divided into military medical support, civilian treatment, and relief. The hospital ship was equipped with state-of-the-art facilities and operated and treated for the injured. Among the injured, soldiers who needed more treatment were evacuated to Busan and Japan, which are rear areas, and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y once in a certain period of time. Four hospital ships were able to provide more advanced medical support by installing helicopter platforms. Meanwhile, treatment and relief for civilians were also carried out.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slogans for orphans. Navy soldiers collected and delivered relief funds to the orphanage, and invited orphans to hold parties and treat them on board. During the war, more than 200,000 patients were treated by hospital ships, including the military and the private sector. It showed excellent quality treatment. As such, the hospital ship was a space where dying wounded soldiers were carried in,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double space where treatment relief was provided for injured soldiers and civilians. The hospital ship was one of the spaces where you could simultaneously confirm the destructive and savage aspects of the war.

목차

Ⅰ. 머리말
Ⅱ. 한국전쟁의 발발과 병원선의 파견
Ⅲ. 병원선의 의료지원과 구호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영(Lee Changyoung). (2022).한국전쟁기 병원선의 파견과 활동. 인문사회과학연구, 23 (1), 105-129

MLA

이창영(Lee Changyoung). "한국전쟁기 병원선의 파견과 활동." 인문사회과학연구, 23.1(2022): 105-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