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유엔군의 원산 상륙작전과 철수작전을 통해 본 해상수송

이용수 181

영문명
Sea Transportation seen through the UN Forces’ Amphibious Landing and Evacuation Operations in Wonsan during the Korean War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윤미(Kim Yunmi)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시작되자 유엔은 결성 이후 처음으로 ‘집단안보체제’를 가동하여 참전을 결정했다. 유엔군은 병력과 물자를 군함과 선박에 탑재하여 세계 각지에서 동북아 해역으로 집결시켰다. 한반도 대부분이 북한군의 진영에 들어간 상황에서 전황을 바꿀 수 있는 모든 전략은 해군력이었다. 이글에서는 한국전쟁 동안 유엔군이 전개했던 해상수송과 해양통제 활동에 주목했다. 부산교두보를 확보한 이후, 한국전쟁에서는 큰 해전이 없었고, 일찍이 해상통제권을 확보하여 해군의 활동은 육상작전 지원과 해상수송으로 좁혀졌다. 그런데 유엔 해군은 휴전협정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는 1953년 7월 27일까지 폭격과 포격 등 해상봉쇄를 전개한 곳이 있었다. 바로 원산이었다. 원산은 일제시기 북한지역의 대표적인 도시였다. 일찍이 개항된 원산에 철도와 항만공사가 시작되어 성진, 청진, 흥남, 나남 등 북한 서쪽지역의 교통, 산업, 경제 중심지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글은 첫째 한국전쟁과 해군의 해상작전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한반도 해역에서 북한군의 해군력이 일찍이 붕괴한 상황이므로 한반도 전역의 제해권은 유엔 해군이 장악했다. 유엔 해군은 상륙작전, 철수작전, 해군항공 폭격, 소해작전, 해상수송작전, 해상봉쇄작전을 반복하며 전개했다. 둘째 한반도 해역의 작전과 함선 이동을 검토했다.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은 육상수송과 함께 상륙작전을 통한 지원을 적극 선택했다. 셋째 한국전쟁에서 원산의 지정학적 역할과 군사적 대응을 고찰했다. 한국전쟁에서 수송과 전투를 고려한 해상작전이 전개된 곳은 부산과 인천, 원산과 진남포였다. 군사전략적으로 원산과 진남포는 ‘한반도의 좁은 허리 부분’이었다.

영문 초록

When the Korean War began on June 25, 1950, the UN forces loaded troops and supplies onto warships and ships and gathered them from all over the world to the seas of Northeast Asia. With most of the Korean Peninsula entering the camp of the North Korean army, any strategy that could change the situation was naval power. This article focused on maritime transport and maritime control activities conducted by the UN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After securing the Busan bridgehead, there were no major naval battles in the Korean War, and by securing maritime control early, the naval activities were narrowed to land operation support and sea transport. However, there were places where the United Nations Navy implemented maritime blockades such as bombardment and artillery until the armistice agreement took effect. It was the origin. This article first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War and naval operations at sea. As the naval power of the North Korean army collapsed early in the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 Navy took control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The United Nations Navy repeatedly deployed amphibious operations, evacuation operations, naval air bombing, minesweeping operations, maritime transport operations, and maritime blockade operations. Second, the operation and movement of ships in the water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reviewed. In the Korean War, the UN forces actively selected support through amphibious operations along with land transport. Third, the geopolitical role and military response of Wonsan in the Korean War were considered. In the Korean War, naval operations that considered transportation and battle were conducted in Busan and Incheon, and Wonsan and Jinnampo. Military-strategic, Wonsan and Jinnampo were ‘the narrow waist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서론
Ⅱ. 유엔군의 해상작전과 해군조직
Ⅲ. 원산의 지정학적 의미와 상륙작전
Ⅳ. 철수작전과 해상봉쇄작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미(Kim Yunmi). (2022).한국전쟁기 유엔군의 원산 상륙작전과 철수작전을 통해 본 해상수송. 인문사회과학연구, 23 (1), 1-28

MLA

김윤미(Kim Yunmi). "한국전쟁기 유엔군의 원산 상륙작전과 철수작전을 통해 본 해상수송." 인문사회과학연구, 23.1(2022):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