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재로 본 임진왜란 참전 명군(明軍) 비(碑) 고찰

이용수 161

영문명
A Review of the Ming Dynasty Military Monument who Participated in the Imjin War as a Cultural Heritage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이수경(Lee, Su-Kyong)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5호, 217~263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명나라는 대규모 원병을 조선에 파견했다. 전쟁 중 많을 때는 약 10만 명의 명군이 조선에 주둔했는데, 대부분은 1598년 전쟁이 끝나고도 명군의 조선주둔은 계속되었다. 명군은 1600년(선조 33) 9월 명나라로 귀환했다. 임진왜란 참전 명군과 관련된 곳에 제단, 사당, 명군의 공덕비가 세워졌다. 특히 공덕비는 전란 직후 명군 스스로 전승기념 성격을 띠었다. 이러한 기념물은 일제강점기에 임진왜란에 참전한 명군 관련 유적들을 파괴하거나 파괴할 대상물로 삼았다. 그 중 몇몇 비석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본 글에서는 기왕의 연구와 더불어 더 체계적으로 명나라 장수의 비 실체를 파악하고자 한다. 비의 형태, 비를 세운 시기와 주체, 비문의 내용, 비가 수록된 조선시대의 사료, 일제강점기 철거될 비 현황 등을 파악하여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When the Imjin War broke out in 1592, the Ming Dynasty dispatched large-scale soldiers to Joseon. During the war, about 100,000 Ming Dynasty soldiers troops were stationed in Joseon, most of which continued to be stationed in Joseon even after the war ended in 1598. Ming Dynasty soldiers returned to the Ming Dynasty in September 1600. Altars, shrines, and memorial stones of Ming Dynasty soldiers were erected in places related to the veterans of the Imjin War. In particular, Gongdeokbi Monument took on the character of commemorating the transmission of Ming Dynasty soldiers himself shortly after the war. These monuments were targeted to destroy or destroy the remains of Ming Dynasty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Imjin War in Japanese colonial era. Some of the monument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this article attempts to more systematically grasp the non-realities of the Ming Dynasty s longev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ument were summarized by grasping the form of the monument, the time and subject of the monument, the contents of the epitaph,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ing the monument, and the status of the monument to be demolished Japanese colonial era.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후기 건립된 명군의 사당
Ⅲ. 임진왜란 참전 명군 관련 비와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경(Lee, Su-Kyong). (2021).문화재로 본 임진왜란 참전 명군(明軍) 비(碑) 고찰. 이순신연구논총, (35), 217-263

MLA

이수경(Lee, Su-Kyong). "문화재로 본 임진왜란 참전 명군(明軍) 비(碑) 고찰." 이순신연구논총, .35(2021): 217-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