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과 미의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ompilation Method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Records of a Deceased King in Joseon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李恩英(Lee, Eun-young)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49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군왕의 죽음 직후 가장 상세하게 씌어져 추후 입전과 追諡 비지문 등의 저본으로 활용되는 행장을 통해 군왕의 생애가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되고 의미화 되는지를 살폈다. 군왕의 행장은 실록의 사초와 승정원일기 등 공식적 기록 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언술이나 개인기록, 구전되어 오는 말까지를 참고하여 초안이 이루어졌으며 문안과 표현 방식을 두고 많은 논의와 수정을 거쳐 까다롭게 찬술되었다. 현재 조선시대 군왕의 행장은 22편이 남아있다. 그 중 초기의 작품은 편폭도 짧고 추상적 서술 성향이 강할 뿐 아니라 개인 문집과 실록의 기사 속에 산재되어 수록되어 있다. 반면 중기 이후로 오면 내용이 구체화되고 이념적 성격이 두드러지며 찬술자의 이름이 명기되고 실록의 부록에 수록되는 등 그 비중이 강화된다. 이는 士林의 정치 진출이 활발해지고 經筵이 활성화되면서 유교 이념에 입각한 이상사회의 모델과 聖君像이 확립되는 것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군왕의 행장의 전편을 관통하는 일관적인 주제는 聖君이다. 행장의 찬술자들은 이상적 성군의 모습에 구체성과 생동감을 부여하기 위해 일상 생활 속 비근한 것으로부터 소재를 취하였고 公義와 禮, 法度 등 공식적 가치 이면의 私恩과 私情, 孝心 등을 드러내어 인간적 군왕의 면모를 그려냈다. 또한 권력과 위엄을 내세우기 보다는 하늘과 백성 앞에 자세를 낮추고 고개를 숙이며 백성들의 고통에 눈물짓는 모습을 형상화하여 仁政과 德治가 임금의 덕스럽고 어진 마음에서부터 출발하여 좋은 제도와 법을 통해 실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군왕의 행장은 정치적인 요소가 농후한 글이다. 왕권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옹호하는 역할을 하고 권력을 가진 자에 의해 찬술되며, 누차에 걸쳐 수정되면서 당파의 이해를 반영하여 엮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군왕의 행장은 역사 서술에서는 좀처럼 드러나기 어려운 인간 내면의 갈등, 情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어 감동을 생산하고, 사건과 인물들, 말과 글을 특정 주제에 맞게 선별하고 포진하는 찬술 의도를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정치적 의미를 암시적이고 함축적인 형태로, 때로는 글보다 행간 속에 포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적 독법이 요구되는 글이다. 조선시대 군왕의 행장은 정치의 성패를 임금의 도덕적 자질에 두고 덕으로 다스리는 정치를 지향했던 시대, 요순으로 표상되는 ‘관념적 성군’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여 ‘다가가 본받을 수 있는’ 임금으로 만드는 역할을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cords of deceased kings, which used to serve as the source of the deceased kings biographies, Biji writings, or posthumous titles based on their highest level of details, to understand how the lives of deceased kings were reorganized and signified. The drafts of records of a deceased king were written by consulting the words or writings of people around him, personal records and orally transmitted words as well as official records such as chronicles and Seungjeongwonilgi. Then the records of a deceased king were piled in a very particular manner through many discussions over and revisions of the outlines and expressive methods. Today there are 22 books of records of deceased kings from Joseon left. The ones from the earlier days were short, had a strong tendency towards abstract narration, and were published as part of individual collections or chronicles. Towards the middle period, however, the content became concrete, the ideological nature grew stronger, and their proportions were heightened being published in an appendix of a chronicle. It is estimated that those changes were at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society and sage king image based on Confucian ideology as more and more Sarims entered the political worlds and contests became active. One persistent theme throughout the book of records of a deceased king is a sage king. Their publishers found materials in familiar daily life to grant specificity and vitality to the ideal aspects of the king and highlighted his respect for his teachers, personal feelings, and filial piety behind the public views, courtesy, law, and other official values to depict him as a humane king. In those records, the kings were also described to be humble before the Heaven and people and shed tears for the suffering of his people rather than exercising his power and authority to show that good systems and laws could be implemented through the king s virtue and kind heart instead of humanity and virtuous ruling remaining as abstract ideologies. The records of a deceased king were rich in political elements. They worked to advocate his legitimacy and justness, were published by those who had power, and reflected the interests of a certain party through several revisions in many cases. At the same time, they were rich in literary features in that they actively dealt with internal conflicts and issues of feelings, which were hardly found in historical narrations, to move the readers and clearly revealed the purports of publication to select and place certain events, figures, words, and writings according to given topics. In Joseon, the records of a deceased king played the roles of making the king accessible and admirable by specifically embodying the aspects of conceptual sage king represented by Yao-Shun in the age when the success or failure of politics depended on the king s moral qualities and virtuous politics.

목차

1. 서론
2. 행장의 수찬 과정
3.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
4. 군왕 행장의 미의식
5. 정치적인, 그리고 문학적인 글 군왕의 행장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恩英(Lee, Eun-young). (2011).조선시대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과 미의식. 동방한문학, (49), 1-20

MLA

李恩英(Lee, Eun-young). "조선시대 군왕 행장의 찬술 방식과 미의식." 동방한문학, .49(2011):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