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찬읍지의 계보와 분포

이용수 145

영문명
Genealogy and Distribution of Official County Gazetteers: Focusing on the Three Counties in Jeju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이재두(Lee, Jaedoo)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3권 제2호, 81~1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을[邑]의 기록[誌]이라는 점에서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이하 『여지승람』)의 각 고을편은 조선전기의 해당 고을 읍지라 할 수 있다. 16⋅17세기 각 고을의 사찬읍지는 『여지승람』을 바탕으로 지방행정과 부세정보를 추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탐라지』에서 보듯이 고을 별호에 기록이라는 의미의 지(志)를 붙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17세기 말 18세기 초 숙종 전반기에는 『여지승람』의 증보개간을 시도하였고, 18세기 후반 영조 후반기에는 각 고을에 여러 차례 읍지 편찬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숙종대와 영조대에 편찬한 제주지역의 관찬읍지는 남아 있지 않다. 정조는 영조 후반기부터 여러 차례 편찬한 ‘해동읍지’와 『여지승람』 수록항목을 재구성한 『해동여지통재』를 출판하여 『여지승람』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1786년에 편찬한 제주지역 세 고을의 읍지는 『여지도서』 증보유형인데, 『여지도서』 개설항목을 그대로 실었으며, 책판을 추가하고, 누정에 제영을 부기하였지만, 선생안은 생략하였다. 1786년지는 제주지역에서도 1760년에 『여지도서』를 편찬한 것을 알려준다. 제주지역의 1793년지는 『호남읍지』 유형으로 편찬한 ‘제주 3읍지’이다. 1832년(순조 32) 규장각에서는 각 도에 공문을 내려 『각도읍지』에 빠진 고을의 읍지를 채워 넣어 전질을 갖추었다. 일본으로부터 100년 만에 환수한 국립고궁박물관의 『각도읍지』에 포함된 제주 3읍지는 1793년지를 바탕으로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하면서 각 항목별로 시문을 다수 추가한 1832년지이다. 1832년 이후 전라도에서는 1847년, 1859년, 1863년, 1871년, 1874년, 1879년에 편찬한 도지가 남아 있지만, 대부분 제주지역 세 고을을 제외한 53개 고을을 대상을 하였다. 이는 19세기 육지의 전라도 53개 고을과 제주지역 3개 고을을 분리하여 파악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6종의 도지 가운데 1874년지에만 대정군과 정의군의 읍지가 실려 있는데, 두 읍지는 이원진의 『탐라지』를 바탕으로 일부 자료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대한제국 수립 이후 1899년 전국 읍지수상령이 내려졌다. 제주지역 세 군의 1899년지에는 선생안(환적)을 싣지 않았다. 제주군의 1899년지는 『탐라지』를 발췌한 뒤, 당시의 고을 현황[時邑誌]을 항목별로 추가하였다. 정의군의 1899년지는 『여지도서』 증보유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대정군은 『탐라지』를 바탕으로 『여지도서』 증보유형 수록 항목을 추가하였다.

영문 초록

In terms of county s records, the Jeju regional sections of Sejongsillok and Yeojiseungram can be said to be the Jeju 3-eupjis(county gazette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achan-eupjis(private county gazetteers) in each county tended to add local administrations and tax informations based on Yeojiseungram. As seen in Tamnaji, it was common to make a title with a letter meaning record in the county nickname. If you look at the Jeju 3-eupjis compiled around 1786, you can see that Yeojidoseo was compiled in this area in 1760. The 1786 s eupjis in Jeju were additional types of Yeojidoseo, which contains the items of Yeojidoseo as it is, and a book board was added, and poetry was included in the pavilion item, and omits the list of county government officials. In Jeolla-do, there was Honam-eupji compiled in 1793. The Jeju 3-eupjis, compiled in 1832, revised and supplemented some contents based on the eupjis in 1793, adding a number of poems for each item. After 1832, Jeolla-do has compiled at least six provincial eupjis, but it has tended to exclude three counties in Jeju region while targeting 53 counties. However, the 1874 s eupjis contained Daejeong-gun and Jeongui-gun, and the two eupji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some data based on Lee Won-jin s Tamnaji.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a national order was issued to compile eupjis in 1899. After extracting Tamnaji from the 1899 s Jeju-gun eupji, the current status of the county at that time was added by item. The 1899 s Jeongui-gun eupji was based on the additional types of Yeojidoseo, and Daejeong-gun added items for the additional types of Yeojidoseo based on Tamnaji. In the 1899 eupjis of the three counties, good government officials were included in Jeju-gun, but the list of county government officials was not included.

목차

1. 머리말
2. 조선전기 지리지와 제주지역
3. 조선후기와 대한제국기의 읍지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두(Lee, Jaedoo). (2021).관찬읍지의 계보와 분포. 한국고지도연구, 13 (2), 81-107

MLA

이재두(Lee, Jaedoo). "관찬읍지의 계보와 분포." 한국고지도연구, 13.2(2021): 81-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