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濟州實景圖의 비교 연구

이용수 19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Real Scenery Paintings of Jeju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amna Sullyeokdo(耽羅巡歷圖)’ and Later Copies of ‘Tamna Sipgyeongdo(耽羅十景圖)’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윤민용(Yoon, Miny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3권 제2호, 33~6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후기에 제주도를 재현한 시각자료의 상당수는 실제의 장소를 바탕으로 재현한 實景圖로서, 화첩 《耽羅巡歷圖》와 ‘耽羅十景圖’ 후모본이 대표적 예이다. 이 둘은 모두 제주목사가 개인적으로 제작한 宦歷의 기념물이지만, 제작목적과 성격이 다르다. 1696년 제작된 李益泰의 ‘탐라십경도’는 제주도의 독특한 지형과 절경, 관방시설을 그린 실경도이다. 1703년 완성된 李衡祥의 《탐라순력도》는 제주도의 실경을 바탕으로 순력과 공무 수행 등을 묘사한 행사도와 회화식 지도 등 41장으로 구성된 기록화첩이다. 《탐라순력도》와 유사한 작례는 찾을 수 없으나 탐라십경도는 단출한 구성, 명확하게 확정된 도상, 감상화로서의 성격 때문에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었다. 최근 공개된 《濟州實景圖》는 탐라십경도의 새로운 유형으로서, 관방시설 장면이 추가되어 공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현전하는 탐라십경도 후모본은 제작목적에 따라 십경의 구성이 변용되었음을 드러낸다.

영문 초록

Most of visual materials on Jeju l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scenery paintings and pictorial map. 《Tamna Sullyeokdo(耽羅巡歷圖)》 and later copies of Tamna Sipgyeongdo(耽羅十景圖)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Both of these are produced as the private memorial of Jeju local governors.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 Lee Ik-tae’s Tamna Sipgyeongdo , produced in 1696, was made with a small folding screen including Jeju Island s unique topography, magnificient view, and government facilities. Lee Hyeong-sang s album of 《Tamna Sullyeokdo》, completed in 1703, was composed of 41 paintings depicting the inspection tour and official duties. Thus its historical as well as practical characteristic was strengthened. No similar examples could be found later in the 《Tamna Sullyeokdo》, but the Tamna sipgyeongdo was continuously reproduced until the 19th century due to a simple and definite composition and as an enjoyment of appreciating Jeju landscape. The recently released 《Jeju Silgyeongdo》 is a new type of Tamna simgyeongdo, and its public character has been strengthened by two scenes of government facilities. It is reveal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later copies of Tamna Sipgyeongdo was changed by the purpose of production.

목차

1. 서론
2. 제주실경도의 성립과 전승
3. 제주실경도의 화풍과 구성
4. 제주실경도의 다층적인 성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민용(Yoon, Minyong). (2021).조선 후기 濟州實景圖의 비교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3 (2), 33-60

MLA

윤민용(Yoon, Minyong). "조선 후기 濟州實景圖의 비교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3.2(2021): 33-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