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교헌정론’과 조선의 모색, 하나의 시론

이용수 125

영문명
A draft of One time: “Confucian Constitutional Theory” and Experiences of Joseon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김호(Kim, Ho)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2권 제2호, 241~2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난 수십년간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더불어 이른바 ‘유교정치론’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서구의 정치론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문명 담론으로까지간주될 정도이다. 물론 이에 대한 지지와 비판이 공존하는 것 또한 현실이다. 필자는 서구의 ‘근대’를 넘어서서, 동아시아의 정치담론을 모색하기에 또 한번의 기회가 도래한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이 글은 중국 내 유교정치담론에대한 연구동향을 정리하고, 조선시대 유교정치를 헌정론의 관점에서 새롭게해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조선시대 내내 성리학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유교정치론을 주장했다. 정조는 만인의 교화를 통해 신분과 지역에 상관없이 현능한 자들을 정치에 참여시키려 했다. 다산은 전 인민의 교육을 통해 ‘민본에서민주’로 나아가는 정치 개혁에 근본적으로 동의하지만 현능의 양성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고 강조했다. 한편 18세기 후반의 위백규는 교육을 통한 현능의 양성과 이들에 의한 자율적인 지방정치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20세기에정치 참여층이 확대되면서, 이른바 ‘공화주의’를 둘러싼 정치 논쟁이 야기되었다. 성리학자 조긍섭은 ‘현능한 자들만이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정치를 ‘각 계층의 이기적 투쟁의 장’으로부터 규정한 공화주의를 비판했다. ‘현능한 자들의 정치’는 20세기 초 송기식에 의해 정교한 유교제도론으로발전했다. 요컨대, 18세기 이래 한반도에서 벌어졌던 유교정치담론의 역사적전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이유는 오늘날 헌정주의 정치담론을 새롭게 확장시키려는 의지와 무관하지 않다

영문 초록

Along with China s economic rise over the past decades, the so-called ‘Confucian politics theory’ has drawn new attention. It is even regarded as a new discourse of civilization that can replace Western political theory. Of course, support and criticism coexist. I think another opportunity has arrived to seek political discourse in East Asia beyond Western ‘modern’.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summarize the research trends on Confucian politics discourse in China and to newly interpret Confucian politics in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theory. Throughout Joseon Dynasty, NeoConfucianists argued various forms of Confucian politics discourse. King Jeongjo tried to engage the wise in politics regardless of their status or region through the reformation of all people. Dasan Jeong Yak-yong[丁若鏞] fundamentally agreed with the political reform of moving from ‘minbon thought[民本] to democracy’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entire people, but stressed that fostering the wise[賢能] is very difficult in reality. Meanwhile, in the late 18th century, Wi Baek-gyu[魏伯珪] sought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the wise through education and autonomous local politics by them. The expansion of the political participants in the 20th century led to a political debate over so-called ‘republicanism’. Neo-Confucianist Cho Geung-seop[曺兢燮] emphasized that “only the wise should participate in politics”, and criticized republicanism which defined politics as “a place of selfish struggle of every class.” ‘The politics of the wise’ developed into a sophisticated Confucian system theory by Song Ki-sik[宋 基植]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short, the reason for critically review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nfucian political discourse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18th century is not irrelevant to today s willingness to expand the constitutionalist political discourse.

목차

1. 왜 유교담론인가?
2. ‘대륙신유가’의 유교정치담론
3. 조선의 유교정치론, 18세기~20세기 초
4. 오래된 미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Kim, Ho). (2021).‘유교헌정론’과 조선의 모색, 하나의 시론. 기전문화연구, 42 (2), 241-267

MLA

김호(Kim, Ho). "‘유교헌정론’과 조선의 모색, 하나의 시론." 기전문화연구, 42.2(2021): 241-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