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의 전라남도 지도군 지명 고찰

이용수 29

영문명
A Study on Toponyms of Jeollanam-do Jido-gun Recorded in 『Joseonjijijaryo』(朝鮮地誌資料): A Focus on Toponyms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orean Character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황금연(Geum-yeon Hwang)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2권 제2호, 129~15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이 연구에서는 『조선지지자료』의 전라남도 지도군에 기록된 한자와 한글이 대응하는 지명 156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한자와 한글 지명의 원전을 검토하여 표기상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한자와 한글이대응하는 지명의 표기법을 살피고, 복수 지명(複數地名)을 해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명에 반영된 방언의 어휘를 살피고, 한글과 한자의 대응 관계가 모호한 몇몇 지명에 대해 해석하였다. 한자에 의한 지명 표기는 대체로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에 의해 이루어졌다. 음차표기, 훈차표기, 음훈병차 등의 방법이 쓰였다. 일부 한자 지명은 그표기 방식을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한글 지명 표기는 음소적 표기(‘옌낭’, ‘마을압’, ‘느리창밧’)와 형태 음소적 표기(‘겁바우’, ‘장들’)가 함께 사용되었으나 형태 음소적 표기의 빈도가훨씬 높다. ‘ㆍ()’는 ‘’[大]의 표기에만 나타나며, ‘’는 현대국어의 단모음 ‘애’의 표기에 ‘’가 쓰였는데, ‘재(<)’[峙, 嶺], ‘개(<)’[浦]의 순서로빈도가 높이 쓰였고, ‘매(<)’[山], ‘새(<)’[鳥], ‘개(<)’[介], ‘샘(<)’[泉], ‘재(<)’[城]에서 1회만 쓰였다. 경음 표기에 ㅅ-계 합용병서가 쓰이는 것이일부 지명 표기에서 확인된다(‘’, ‘’).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나루’[津]인데, ‘라루’와 ‘라리’로 일관되게 나타나며, ‘ㄱ’구개음화는 ‘진(>긴)’ [長]에서 확인된다. 움라우트(Umlaut)를 반영한 방언 표기로 ‘쇠’[牛], ‘방’ [舂] 등이 있다. 지명의 표기에 반영된 주요 방언 어휘로 ‘낭’[木], ‘뻘(>)’[鹵], ‘나박’[廣], ‘기’[蟹], ‘송굿’[錐], ‘독박’[石], ‘’[너덜], ‘여을’[灘], ‘바우’[巖], ‘겁·거벅’ [龜] 등이 확인되었다. ‘중챔이들’[中參坪]의 ‘챔(>참)’은 ‘근처, 부근’의 공간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벗’는 ‘막전포(幕前浦)’를 참고하여, ‘소금밭[벗] 앞에 있는 포구’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156 toponyms whos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Korean characters recorded in Jeollanam-do Jido-gun Part from the 『Joseonjijijaryo』.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and Korean place names to correct notational errors. Then, notations of toponyms whose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 to Korean ones were examined and plural toponyms were interpreted. Finally, regional dialects reflected in toponyms were investigated and a few place names whos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is vague were interpreted. Korean topony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ere generally made using the Chinese Characters-Borrowing systerm. Methods such as borrowing the notes of Chinese characters, borrow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orrow the note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In some cas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method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for some placenames. For notation of Korean toponyms, phonemic writing(Yen-nang-ki, Maeul-ap, and Neuri-chang-bat) and morphemic writing(Geop-bawu and Jang-ki-deul) were used together, but the frequency that the latter was used was much higher. ‘ㆍ ()([ʌ])’ only appeared in writing of ‘Han’[large] and ‘[ʌy]’ appeared in writing of ‘Ae’, a monophthong of modern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it was used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Jae’[hill], ‘Gae‘ [riverside]. It was used only one time in ‘Mae’[mountain], ’Sae’[bird], ‘Gae’[piece], ‘Saem’ [fountain] and ‘Jae’[fortress]. It was found in part of toponym writing that for fortis writing of s-family, the same consonant characters were laterally attached(‘sberl’ and ‘sdeul’). ‘Naru’[thick] for which initial law was not applied, consistently appeared as ’Raru‘ and ’Rari‘. ’k‘ palatalization was found in ’Gin‘[long]. Dialect writing for which Umlaut was reflected were Soe[cow] and Bangʌi[mortar]. It was discovered that important dialects that were reflected in toponym writing were Nang[tree], Bbeol[salt], Nabak[wide], Ki[crab], Songgut[gimlet], Dokbak[rock], theal[slope], Yeoeul[rapids], Bawu[rock], Geop and Geobuk[turtle]. It was also discovered that Cham of ‘Jungchameedeul has a spatial meaning of ‘nearby and neighborhood’. ‘Buttki’ was interpreted as a toponym to mean a port in front of salt farm, referring to ‘Magjeonpo‘.

목차

1. 서언
2. 원전 분석
3. 지명 표기 유형
4. 지명 표기 해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금연(Geum-yeon Hwang). (2021).『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의 전라남도 지도군 지명 고찰. 기전문화연구, 42 (2), 129-155

MLA

황금연(Geum-yeon Hwang).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의 전라남도 지도군 지명 고찰." 기전문화연구, 42.2(2021): 129-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