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이행기 군산 원도심의 종교적 장소성

이용수 139

영문명
Religious Placeness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of Gunsa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진성(Choi, Jin seong)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2권 제2호, 75~10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군산은 개항이 되면서 해안가의 어촌에 살던 조선인들의 거주지에 변화가있었다. 일본인들은 해안가의 조계를 중심으로 근대적인 시가지를 조성해 살았던 반면, 이곳에서 쫓겨난 조선인들은 그 주변의 구릉지를 삶의 터전으로삼을 수밖에 없었다. 개항을 전후해서 군산 원도심에 유입된 종교들은 이처럼 민족별 거주지가 이원화된 상황을 고려해서 선교거점을 확보하였다. 여기에는 종교 주체들의 선교전략이 반영되었는데, 대표적으로는 선교 대상의 선정, 선교거점의 입지 선정 및 이전, 선교거점 안에 세워진 시설들의 공간 배치 등에 적용되었다. 종교마다 다른 선교전략에 의해 종교적 장소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런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신교와천주교는 조선인들을 선교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당시 조선인들이 주로 거주하던 구릉지에 교회와 성당이 세워졌다. 특히, 개신교 선교사들은 하천과바다를 통해 선교 범위를 넓히려고 포구가 있는 구릉지로 선교거점을 옮겼다. 이들은 이전된 선교거점에 교회, 학교, 병원 등을 세워 선교 활동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시설들의 공간 배치 또한 선교 활동에 유리하도록 조성되었다. 또한 원도심에 남아있던 신자들을 위해 새로 설립된 교회 역시 조선인 거주지가 있던 구릉지에 세워졌다. 둘째, 일본신도는 개항 초기부터 군산에 진출한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종교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를 위해 군산신사는일본인들의 거주지와 가까우면서도 접근성이 좋은 구릉지의 중턱에 세워졌다. 하지만 일본신도가 조선인들의 정신적 지배를 위한 도구로 전락되면서신사 본래의 종교적 장소성은 희석되었다. 광복이 되자마자 군산신사는 해체되고, 현재는 그 곳에 독립을 상징하는 경관들로 채워져 있다. 셋째, 일본불교는 일본인보다는 조선인들의 포교에 더 중점을 두었다. 일제는 일본신도와마찬가지로 일본불교를 이용해 조선인들에 대한 일제의 지배력을 높이려는수단의 하나로 삼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사찰들은 조선인 거주지로 진입하지는 못하고, 민족별 거주지가 서로 겹치는 점이지대의 구릉지에 세워졌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한국불교에 계승되거나 또는 개신교의 교회로 바뀐 채그 자리에 남아 있다. 넷째, 일본개신교는 일본인들을 주요 선교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일본인 거주지에 교회가 세워졌다. 이 교회는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서도 일본인 주거지가 있던 평지를 고수했다. 종교들마다 선교 대상은달랐어도, 근대이행기에 군산 원도심으로 유입된 종교들이 가장 선호했던 장소는 구릉이었다. 일본개신교만 이러한 입지 경향성에서 예외적이었다.

영문 초록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of Gunsan, there was a change in the settlement of Koreans living in fishing villages along the coast. While the Japanese lived in a modern city center centered on the coastal concessions, the Koreans who were expelled from here had no choice but to use the surrounding hilly areas as their home. Religions that flowed into the original downtown area of Gunsan before and after the port opening took into account the duality of residence for each ethnic group and secured a base for missions. The mission strategy of religious actors was reflected here, and representatively, it was applied to the selection of mission targets, the selection and relocation of the missionary station, a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facilities built in the missionary station. Religious placeness appeared in various ways due to different mission strategies for each religion.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Protestantism and Catholicism took Koreans as mission targets, churches and cathedrals were built in the hilly areas where Koreans mainly lived at the time. In particular, Protestant missionaries moved their missionary station to a hilly area with a port in order to expand their mission range through rivers and seas. They supported missionary activities by establishing churches, schools, and hospitals in the relocated missionary station.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se facilities was also designed to be advantageous for missionary activities. In addition, a newly established church for believers who remained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was also built on a hilly area where Koreans lived. Second, Japanese Shinto provided religious services to Japanese who had advanced to Gunsan from the early days of port opening. To this end, Gunsan Shinto-Shrine was built in the middle of a hilly area that is close to the Japanese residence and has good accessibility. However, as Japanese Shinto was reduced to a tool for the spiritual domination of Koreans, the original religious location of the shrine was diluted. As soon as liberation, Gunsan Shinto-Shrine was dismantled, and now it is filled with landscapes symbolizing independence. Third, Japanese Buddhism focused more on the propaganda of Koreans than on Japanese. This is because, like Japanese Shinto, the Japanese used Buddhism as one of the means to increase their dominance over the Koreans. However, these temples were not able to enter the settlements of Koreans, and they were built on a hilly area in the point where the residences of each ethnic group overlap each other. Some of them have been succeeded by Korean Buddhism or have been converted into Protestant churches and remain there. Fourth, because the Japanese Protestant Church made the Japanese as its main mission target, a church was established in the Japanese residence. Although the church was relocated to another location, it maintained the flat land where the Japanese had lived. Although the target of missions for each religion was different, the most preferred place for religions that migrated to the original downtown area of Gunsan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was hills. The Japanese Protestant Church was the only exception in this locational tendency.

목차

1. 머리말
2. 군산 원도심의 민족별 거주지의 이원화
3. 조선인 거주지의 종교적 장소성
4. 일본인 거주지의 종교적 장소성
5. 글을 마치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성(Choi, Jin seong). (2021).근대이행기 군산 원도심의 종교적 장소성. 기전문화연구, 42 (2), 75-105

MLA

최진성(Choi, Jin seong). "근대이행기 군산 원도심의 종교적 장소성." 기전문화연구, 42.2(2021): 75-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