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제주 마을의 ‘관계인구’ 형성 사례 연구
이용수 43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Relational Population’ in Jeju Village for the Sustainability: Focusing on the Case of Gwideok 1-ri, Hallim-eup, Jeju-si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양지혜 고은솔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5권 제1호, 119~1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지방소멸의 위기 극복 대안으로 ‘관계인구’라는 개념이 언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논의가 시작된 ‘관계인구’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청년인구의 전출, 이주민의 재전출이 문제가 되는 제주의 지역 상황에 관계인구의 개념을 적용하여 현 정주인구를 ‘잠재적 관계인구’로 가정하였다. 연구 사례지역인 귀덕1 리는 인구 급감으로 지역의 초등학교가 소학교 통·폐합 대상이 된 후, 주민들은 마을 소멸 위기를 느끼고 그 대안으로 학령아동이 있는 가구의 유입을 유도하고, 마을교육공동체 조직, 주민 주도 소규모 축제를 여는 등 지역의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고민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인구’ 개념이 국내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시점에서 지역의 공동체 활동을 ‘관계 맺기 경험’으로 해석하고자 한 시도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concept of “relational population” has been mention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extinction.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relational population” which was first discussed in Japan. Then, applying the concept of relational population to the local situation of Jeju where the outflow of young population and the re-outflow of immigrants are problematic, the current resident population is assumed to be “potential relational population”. In the case study area of Gwideok 1-ri,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area became a candidate for elementary school consolidation due to a sharp decline in population. Residents felt the threat of village extinction and considered ways to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region, such as inducing households with school-age children, organizing a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holding small-scale festivals led by resident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community activities in the region as “experiences of forming relationships” at a time when the concept of “relational population” is being actively discussed in Korea.
목차
1. 서론
2. 지방소멸 위기와 관계인구
3. ‘관계인구’ 형성 사례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군산도 오룡묘(五龍廟)의 기원과 토착화의 전개
- [추도문] 여촌 이문종(1939~2022)의 지리학 연찬
- 읍치 경관에 대한 유네스코 ‘역사도시경관’ 접근의 함의
- [서평] 조선 최고의 개발자 김정호 : 나의 삶은 항상 신제품 개발이었다 (이기봉, 역사 환생 인터뷰 김정호 편, 덕주, 2021)
- 제주를 보는 근대적 시선의 형성
-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제주 마을의 ‘관계인구’ 형성 사례 연구
- 개화기~일제강점기 서울의 자전거 교통
- 판교 테크노밸리 입지에 대한 연구
- 종교의 영향에 의한 태평양 지역 거주민의 모국과 민족성의 재창조
- 가치기반 접근을 통한 세계유산 수원화성의 유산가치 보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야외박물관으로서의 경주 남산 만들기 : 1950-90년대 지역문화공동체의 유산 실천을 중심으로
- 제주해녀문화 관광자원화의 진정성과 지속가능성 -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칼 사우어(Carl O. Sauer)의 문화·역사지리학에 투영된 환경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