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풍수를 통해 본 읍치(邑治) 사직단의 입지와 배치

이용수 95

영문명
The Location and Assemblage of Sajikdan as Necessary Ritual Facility in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seen through Fengshui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권선정(Seonjeong Kwon)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42권 제2호, 107~12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전통지리 풍수의 관점에서 조선시대 읍치 사직단의 입지 및 배치관계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지역의 행정중심지였던 군ㆍ현 읍치의 공간구성을 보면 동헌ㆍ객사와 같은 행정시설과 사직단을 포함한 문묘(향교)ㆍ성황사(단)ㆍ여단(여제단) 등의 제의시설은 그것의 실제적, 상징적 기능 외에 읍치를 풍수 명당 국면으로 구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읍치의 공간구성에서 사직단의 입지적 특성 및 의미는 여타의 읍치경관과의 ‘공간적 배치’ 즉 공간관계 속에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사직단은문묘가 배향된 향교와 보통 좌묘우사(左廟右社) 원리에 의해 배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조선후기 고지도를 중심으로 전국 333개 군ㆍ 현 읍치의 행정 및 제의시설의 배치관계를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 읍치의 배후산세인 주산으로부터 동헌으로 이어지는 읍치공간의 중심축을 기준 방향으로 하였을 때 문묘(향교)와 사직단은 『1872년 지방지도』 상 확인이 가능한전체 253개 사례 중 209개(83%)에서 좌묘우사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직단과 문묘(향교)를 비롯한 이들 제의시설의 입지는 읍치를 풍수 상 중심적 장소 소위 명당 국면으로 경계 짓는 사신사(四神砂) 자락에 주로 자리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직단을 포함한 제의시설들의 입지는 자연적경계로서 사신사와 함께 풍수 명당국면으로서 읍치공간을 외부세계와 구분짓는 인위적 경계로서 역할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ajikdan was one of the major ritual facilities that constituted the capital Hanyang and the regional administrative center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the location and assemblage of the Sajikdan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fengshui as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ical thought. If you look at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in the Joseon Dynasty, administrative facilities such as Dongheon and Gaeksa and ritual facilities such as Hyanggyo(Munmyo), Seonghwangsa(dan), and Yeodan including Sajikdan played important roles in composing Eupchi as a good place( myeongdang ) of fengshui, in addition to the practical and symbolic function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upchi,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ajikdan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spatial assemblages with other Eupchi landscapes. In particular, it has been known that the Sajikdan was arranged according to the particular relationship with Hyanggyo called jwamyowoosa . In this regard, I tried to summarize the spatial relationship of administrative facilities(Dongheon, Gaeksa) and ritual facilities(hyanggyomunmyo, Sajikdan, Seonghwangsa, and Yeodan) based on the old map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result, based on the central ax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upchi space from Jusan(main mountain) behind Eupchi to Dongheon, a common assemblage between Hyanggyo and Sajikdan was found in 209 (83%) of 253 cases that can be confirmed in 『Local Map of 1872』. In addition, the locations of these ritual facilities, including Sajikdan and Hyanggyo, were mainly located at the foo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called Sasinsa that bordered Eupchi as the central place of fengshui.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ocation of the ritual facilities including Sajikdan served as an artificial boundary that separates the Eupchi space from the outside world as a natural boundary with Sasinsa.

목차

1. 읍치 사직단에 대한 풍수적 접근
2. 전통도시 읍치의 공간구성과 풍수
3. 사직단의 입지 및 배치 그리고 풍수적 의미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선정(Seonjeong Kwon). (2021).풍수를 통해 본 읍치(邑治) 사직단의 입지와 배치. 기전문화연구, 42 (2), 107-128

MLA

권선정(Seonjeong Kwon). "풍수를 통해 본 읍치(邑治) 사직단의 입지와 배치." 기전문화연구, 42.2(2021): 107-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