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화행궁江華行宮의 건립과 공간구성

이용수 44

영문명
The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of Space of Ganghwa-Haenggung : Focused on 『Ganghwabugungjeonko[江華府宮殿考]』 and 《Ganghwabugungjeondo[江華府宮殿圖]》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김선희(Kim Seonhee)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3호, 111~13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14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국가의 보장처로 인식되었던 강화부의 행궁 건립과정, 배치와 규모를 고찰하였다. 강화에는 고려시대 대몽항쟁기 이후 이궁離宮과 가궐假闕이 운영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기간 중 강화부 객사 및 관아 일대가 국왕의 임시 편전으로 사용되면서 행궁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강화행궁은 병자호란 당시 화재로 인해 소실된 이후 증개축 과정을 거쳐 1711년(숙종 37) 완공되었다. 특히 행궁 동쪽에는 선대 왕의 어진을 모신 영전이 들어서고 정조대에는 외규장각이 새롭게 설치되면서 행궁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1855년(철종 6)에는 행궁 42칸 외에 척천정, 세심재, 북신고 등을 포함해 총 146칸의 대대적인 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이후 1881년(고종 18)에 간행된 『강화부궁전고』에 의해 행궁 85칸, 외규장각 20칸, 북신고와 제기고를 포함한 장녕전 94칸, 봉선전 9칸, 만녕전 22칸 등 총 230여칸의 규모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강화행궁의 모습은 19세기 중반 간행된 《강화부궁전도》를 통해 알 수 있다. 강화행궁은 외규장각·장녕전·만녕전·봉선전 등과 함께 줄지어 배치되었고, 그 아래쪽에는 강화부 관아들이 나란히 위치하였다. 하지만 병인양요 당시 화재로 소실된 행궁과 영전은 중건되지 못하였고 현대에 이르러 외규장각만 복원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n inquiry into the construction process, layout and scale of Haenggung in Ganghwa, which was identified as the national security office in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Mongolian Invasions[大夢抗爭期], Leegung[離宮] and Gagwol[假闕] were operated in Ganghwa. During the Imjin and Jeongmyo Wars in the Joseon Dynasty, the Ganghwabu Guesthouse[客舍] and government offices were used as a temporary residence for the king, serving as Haenggung. Ganghwa-Haenggung, after being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Byeongja War, was completed in 1711 (the 37th year of King Sukjong s reign) through a process of rebuilding and subsequent remodeling. The importance of Haenggung was further highlighted especially after the Construction of Yeongjeon, the place where the picture of the king of the forefathers was enshrined, on the east side of Haenggung and then the new establishment of Oegyujanggak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1855(the 6th year of King Cheoljong s reign), in addition to the 42 kan of Haenggung, a total of 146 kan of renovations were carried out, including Cheokcheonjeong[尺天亭], Sesimjae[洗心齋], and Bukshinko[北新庫]. Later, according to the 『Ganghwabugungjeonko[江華府宮殿考]』 published in 1881 (the 18th year of King Gojong s reign), it was confirmed that he total space was 230 kan, including 85 kan of Haenggung, 20 kan of Oegyujanggak, 94 kanof Jangnyeongjeon including Buksin and Jegigo, 9 kan of Bongseonjeon and 22 kan of Mannyeongjeon. Ganghwa-Haenggung can be seen through 《Ganghwabugungjeondo[江華府宮殿圖]》 published in the mid-19th century. Ganghwa-Haenggung was lined up with Oegyujanggak[外奎章閣], Jangnyeongjeon[長寧殿], Mannyeongjeon[萬寧殿], Bongseonjeon[奉先殿]. At the bottom were the government offices[官衙] of the Ganghwa Ministry. However, Haenggung and Yeongjeon[影殿], which were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Byeonginyangyo period, were not reconstructed, and only Oegyujanggak has been restored in modern times.

목차

Ⅰ. 머리말
Ⅱ. 강화행궁의 건립과정
Ⅲ. 강화행궁의 배치와 규모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희(Kim Seonhee). (2020).강화행궁江華行宮의 건립과 공간구성. 고궁문화, (13), 111-135

MLA

김선희(Kim Seonhee). "강화행궁江華行宮의 건립과 공간구성." 고궁문화, .13(2020): 111-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