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제작한 금보 보자기의 소재와 문양에 관한 고찰

이용수 50

영문명
The Materials and Patterns of the Wrapping Cloths Made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the Golden Royal Seals in 1705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이은주(Lee Eunjoo) 진덕순(Jin Deoksoon)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3호, 81~1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14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어보는 종묘 신실에 모셔져 있던 것을 이관한 것이다. 이관 당시 부속 유물들이 교란되어 어보와 봉과제구 등이 제작 시기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새로 제작된 어보 10과 금보용 금보보(어보보)를 연구대상으로 제작 연도가 분명한 기록과 복식 유물, 옥책함 내도의 등 관련 유물의 문양 이미지와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8점의 금보보와 2점의 보통보로 분류되었고, ‘다홍운문대단’으로 기록된 금보보의 소재는 다홍색 운보문단임을 확인하였다. ‘정하 운보문 판독법’으로 운보문 문양을 판독한 결과, 목조, 익조비, 환조, 환조비의 금보보가 1705년 금보와 함께 제작된 보자기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고, 도조 금보보(1)은 1713∼1721년 제작된 어보 보자기의 소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조비 금보보와 도조 금보보(2)는 1705년 금보보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익조 금보의 무문단 금보보의 경우 1705년 제작된 금보보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royal seals kept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ere transferred from sinsil(a spirit chamber) at Jongmyo Shrine. During the transfer, other relics were disturbed so that royal seals were not matched with encased ritual utensils in terms of their production tim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cords having clear production dates with the patterns of related relics such as costume artifacts and cases for jade books against 10 royal seals and their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s newly designed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the Golden Royal Seals in the 31st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As a result, the royal seal-wrapping cloths were classified into 8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s and 2 regular ones. In terms of the material, the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s were recorded as ‘dahol unmundaedan(a large piece with red cloud patterns)’ and ‘dahong-unbomundan(a piece with red cloud-treasure patterns)’.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cloud-treasure patterns. using the jeongha-unbomun pattern-reading metho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s of King Mok jo, King Ikjo’s wife, King Hwanjo and his wife were made together with the golden royal seals in 1705. It was confirmed that the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 (1) of King Dojo was used in making royal seal-wrapping cloths during 1713-1721.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s of King Mokjo’s wife and King Dojo (2) were not the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s used in 1705.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less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 of King Ikjo is not the golden royal seal-wrapping cloth made in 1705.

목차

Ⅰ. 머리말
Ⅱ. 어보의 제작과 봉과
Ⅲ. 1705년 금보와 금보 보자기 제작
Ⅳ. 1705년 현전 금보 보자기 소재와 문양 분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Lee Eunjoo),진덕순(Jin Deoksoon). (2020).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제작한 금보 보자기의 소재와 문양에 관한 고찰. 고궁문화, (13), 81-109

MLA

이은주(Lee Eunjoo),진덕순(Jin Deoksoon). "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제작한 금보 보자기의 소재와 문양에 관한 고찰." 고궁문화, .13(2020): 8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