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8세기 조선왕실 화장용 자기의 특징과 수용 과정

이용수 68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and Their Acceptance at the 18th-century Joseon Royal Court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곽희원(Kwak Heewon)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3호, 31~6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14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5년 발견된 화협옹주묘에서는 전체 49건 93점의 부장품 중 영조가 지은 묘지석과 빗, 먹, 청동거울을 포함한 화장용기 일괄이 출토되었다. 청화백자에는 분, 연지 등으로 추정되는 유기물이 온전하게 남아있어 이들은 같은 시기 왕실무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소형 백자류의 성격을 규명함과 동시에 조선후기 화장문화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화협옹주묘 회곽함에 매장되어 있던 백자 화장용기는 12건으로 분원산 1점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중국과 일본에서 제작된 것이다. 얼굴을 곱게 꾸미는 ‘단장’이라는 행위의 성격상 왕실의 화장품을 담는 용기에는 화려하고 정교하기로 이름 높았던 수입 자기들이 선호되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수입산 자기가 대다수를 이루는 화장용 자기와 달리 당시 청과 에도시기의 화장법, 화장용기가 다른 점은 조선왕실이 화장문화 전체를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닌 수입산 자기의 애호가 화장용기 선택의 근간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initial tomb of Princess Hwahyeop before its relocation was accidentally discovered in 2015. The burial objects including 49 items of 93 pieces in total were unearthed from the site: the tombstone containing the epitaph written by her father, King Yeongjo (r. 1724-1776), a comb, an ink stick, a bronze handheld mirror and its case, and a set of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Cosmetic residue that was presumed to be powder and cheek rouge, remained intact in a few of the white porcelain containers in underglaze cobalt blue; this becomes a particularly significant reference in clarifying the usage of small-sized white porcelains commonly discovered in royal tombs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royal beauty culture of Joseon. There were 12 types of white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in the lime-soil mixture makeup box found in her tomb; all the other containers, except one that was crafted in one of the official court kilns named bunwon, were produced in either China or Japan. Considering that women in the highest position of the country would apply their cosmetics with the utmost care, imported porcelains, which were highly reputed for their splendor and refinement, would have very likely been the preferred choice to store their cosmetics in the Joseon court. As such, the majority of the Joseon royal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were imported, but still, one of the interesting facts in this respect is that containers of the same kind and makeup methods in Qing China and Edo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Joseon: this convincingly demonstrates that the Joseon royal women did not accept the entire overseas cosmetics culture as it was, but their penchant for the imported porcelains served as the basis for selecting them to store their cosmetics.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화장문화와 화장용기의 수용과정
Ⅲ. 화협옹주묘 출토 화장용기의 형식과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희원(Kwak Heewon). (2020).18세기 조선왕실 화장용 자기의 특징과 수용 과정. 고궁문화, (13), 31-61

MLA

곽희원(Kwak Heewon). "18세기 조선왕실 화장용 자기의 특징과 수용 과정." 고궁문화, .13(2020): 3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