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

이용수 51

영문명
A Study on the Throne Hall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 and Daeha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전나나(Jeon Nana)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3호, 7~2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14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에 조성된 궁궐 중에는 정전의 좌우에 대형의 향로를 두는 경우가 있다. 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에는 월대의 동서 끝 부분에 대형의 향로가 남아 있다. 이 향로를 의궤에서는 용향로라고 지칭하였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는 『경복궁영건일기』에 따라 1866년에 만들어져 이듬해 완성되었고,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는 1902년 제작하였다가 불탄 후, 1905년경에 다시 제작한 기록이 의궤에 남아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는 1457년에 제작한 대종을 녹여서 제작하였고,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는 금속을 이용하여 새로 주조하였다. 특히 중화전 용향로는 제작에 소요된 물품과 장인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의미가 깊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를 제작한 직후 조선의 정권을 잡았던 흥선대원군은 청에 사행을 다녀온 관원에게 청 자금성의 규모와 형태에 관하여 문의하였다. 이때 자금성 태화전에는 향로를 두었고, 중화전에는 두지 않았던 내용을 상세하게 전달받았다. 조선 후기부터 연행록과 연행도를 토대로 청 자금성의 기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는데, 대형의 향로가 있다는 점이 조정에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청 자금성의 태화전 앞에 있는 대형 향로의 모습이 우리나라 정전 용향로와 문양과 형상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용향로는 조선 후기 18~19세기에 그려진 의궤 도설의 향로와 조선 후기 왕실 향로와 유사성을 보인다. 한편, 정전 용향로의 용 머리가 있는 뚜껑은 현대에 이르러 분실되었다.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의 의궤 도설에서는 다양한 기록을 토대로 용 머리가 있는 용향로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경복궁 근정전의 용향로 뚜껑은 일제강점기까지도 남아 있었지만, 1960년대 분실한 것으로 추정된다. 덕수궁 중화전의 용향로 뚜껑은 일제강점기 경에 한 점을 분실하고, 한 점만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정전의 용향로는 뚜껑의 형상을 갖추었으며, 제례시 사용한 향로와 유사한 모습이다. 특히 정전 용향로는 고종 재위시 설치되어 조선 후기 왕실의 권위를 내세우는 상징성을 보인다.

영문 초록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1392-1897) and Daehan Empire(1897-1910) had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entrance to the throne hall. Of them, only two pairs are remaining today, one at the Moon Terrace of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other is from Junghwa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These large incense burners were called “dragon Incense Burner(yonghyangno)” due to the dragon motif used to decorate then. According to The Diary of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Gyeongbokgung Yeonggeon Ilgi), the dragon incense burners of Geunjeongjeon Hall were made in 1866 while,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books of state protocols(uigwe), the dragon incense burners of Junghwajeon Hall were first made in 1902 but had to be made again three years later due to the fire that destroyed them. The burners of Geunjeongjeon Hall were made by melting a large bell produced in 1457, those of Junghwajeon Hall with molten metal. The incense burners of Junghwajeon Hall in particular are highly regarded as a source for the study of the political situation surrounding the Korean imperial court thanks to the details of records made regarding their production, materials used and the artisans who made the burners. Following the production of the incense burners for Geunjeongjeon Hall, Lord Heungseon Daewongun(1820-1898), chief of the government of Joseon at the time, asked the Joseon envoys sent to the imperial court of Qing about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Forbidden City, the imperial palace of Qing. The information he obtained from the envoys included the fact that there were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placed at the front of the Hall of Supreme Harmony(Taihedian), the imperial throne hall of the Forbidden City, while there were none at Junghwajeon Hall. It appears that it was after the report that the Korean imperial court studied the early records and drawings of the imperial palace of Qing documented by the Joseon envoys, finding that the Qing court used a pair of large incense burners for the adornment of the imperial throne hall. The incense burners at Taihedian Hall of the Forbidden City are uniquely different from those at the Joseon and Daehan palaces in their size and form. The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 and Daehan Empire share similarities with the incense burners traditionally used by the Joseon court as shown by the illustrations contained in the books of state protocols publish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throne halls were originally complete with the lids carved with dragon heads as shown by the uigwe illustrations produced in the Joseon and Daehan Empire periods. Of the remaining burners, those of Geunjeong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were lost sometime during the 1960s while those of Junghwajeon Hall in Deoksugung Palace only one lid is remaining today with the other lid lost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hen Korean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en complete with their lid, these incense burners feature the form similar to those traditionally used at state rites. The dragon incense burners newly adopted for the throne hall during the reign of Emperor Gojong were intended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궁궐 정전에 있는 용향로의 특징
Ⅲ. 용향로에 대한 기록과 실물의 비교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나나(Jeon Nana). (2020).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 고궁문화, (13), 7-29

MLA

전나나(Jeon Nana). "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 고궁문화, .13(2020): 7-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