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수된 대군주보와 개화기의 국새 어새 제도

이용수 26

영문명
Retrieved Dae-gun-ju-bo and the Seal of State and the Seal of King System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박성호(Park Sungho)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3호, 63~7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14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화기에 접어들어 조선은 종래에 명·청을 상대로 유지해 온 사대事大에서 벗어나서 독자적인 주권국가로서 다른 나라와 대등한 국가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새國璽의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2020년 재미교포의 기증을 통해 <대군주보大君主寶>가 국내로 돌아왔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성과를 토대로 개화기에 제작된 ‘대군주보’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1882년(고종 19)에 새로 제작한 ‘대군주보’, ‘대조선대군주보’, ‘대조선국대군주보’에 관한 문헌 기록과 1894년(고종 31) 및 1895년(고종 32)에 반포된 공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개화기에는 국새와 어새를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운용한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개화기 고문서를 조사하여 ‘대군주보’, ‘대조선국대군주보’, ‘대조선국보’가 실제로 사용된 사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군주보’는 관원의 임명문서, 국내에 반포한 칙령, 왕에게 상주된 주본의 여백 등에 찍힌 사례를 확인했고, ‘대조선국대군주보’와 ‘대조선국보’는 각각 1887~1888년, 1894~1897년 사이에 외국으로 보낸 국서에 찍힌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조선국대군주보’와 ‘대조선국보’는 타국과의 외교 관계에서 주고받는 국서에 ‘국새’로 사용되었고, ‘대군주보’는 고위 관원 임명문서와 국내에 반포된 법령 등의 문서에 ‘어새’로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Joseon Dynasty aimed to form equal state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as an independent sovereign country after rejecting the suzerainty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the past. This transformation could be seen in the changes to the seal of state. In 2020, the Dae-gun-ju-bo was returned after a Korean-American’s donation to Korea.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nature of ‘Dae-gun-ju-bo’ produced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First, this thesis examined the literature records about ‘Dae-gun-ju-bo’, ‘Dae-jo-seon-Dae-gun-ju-bo’, and ‘Dae-jo-seon-guk-dae-gun-ju-bo’ newly produced in 1882(the 19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and also the official document laws proclaimed in 1894(the 31st year of King Gojong’s reign) and 1895(the 3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Based on this, this thesis verified that the seal of state and the seal of the king were separately applied depending on their use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researching the ancient docum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kept by Kyu 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angseogak Archives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is thesis verified the cases in which Dae-gun-ju-bo, Dae-jo-seon-guk-Dae-gun-ju-bo, and Dae-jo-seon-guk-bo were actually used. Conclusive evidence is provided in this thesis with verified cases of stamping Dae-gun-ju-bo on the appointment documents for government officials, imperial orders proclaimed within Korea, and the margin of letters presented to the king, and also the cases of stamping Dae-jo-seon-guk-Dae-gun-ju-bo and Dae-jo-seon-guk-bo on the credentials sent to foreign countries in 1887~1888, and in 1894~1897 respectively. Through this, Dae-jo-seon-guk-Dae-gun-ju-bo and Dae-jo-seon-guk-bo were used as ‘the seal of state’ for credentials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and Dae-gun-ju-bo was used as the seal of the king for documents such as appointment documents for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nd ordinances proclaimed in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대군주보의 제작과 개화기 국새 어새 제도
Ⅲ. 개화기 국새 어새의 사용 사례 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호(Park Sungho). (2020).환수된 대군주보와 개화기의 국새 어새 제도. 고궁문화, (13), 63-79

MLA

박성호(Park Sungho). "환수된 대군주보와 개화기의 국새 어새 제도." 고궁문화, .13(2020): 6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