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과 교육과정과 성취 기준의 상관성 연구

이용수 206

영문명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chievement Criteria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김영선(Kim, Young Seon)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52집, 237~26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성취 기준’이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의미를 살피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글은 교육과정의 진술 내에서 성취 기준이 도입되어야 했던 필연적인 이유를 찾고 성취 기준 도입과 관련된 현실적인 문제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2007년, 2009년, 2012년,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진술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고 대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분석을 위한 내용 영역으로 문법 영역을 선정하여 관련된 개정 교육과정의 각 부분들을 대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논의 과정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성취 기준’의 도입 필요성이 2007년 이후의 교육과정에서는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못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는 당해 교육과정에서 진술하는 교육 목적이나 인간상, 내용 체계, 평가 등의 영역에서 이전의 교육과정과 큰 차이가 없다는 데서 기인한 것이다. 나아가 핵심 역량과 성취 기준, 그리고 학습 목표 간의 상관 관계가 명료하게 진술되지 못하여 학습 현장에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였다. 다만 핵심 역량을 제시하고 이를 성취 기준의 동기로 삼았으며, 성취 기준을 학습 목표의 상위 개념으로 제시하여 학습 활동과 관련된 체계적 인과성을 유지하려는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the term ‘achievement criteria’ has emerged as a key word govern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based on changes in the curriculum. The achievement criteria introduced after 2007 replaced the learning goals in the curriculum in 2015 and emerged as a mechanism to dominat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re have been various conceptual statements about achievement criteria so far, but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 concept of putting the results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learning goal that puts the acquisition of content knowledge. This article starts with two questions. First, how meaningfully contrasting the concepts of learning goals and achievement criteria are realized in the curriculum after 2007, and second, what is the inevitable reason that achievement criteria should be introduced within the curriculum statement.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analyzed and contrasted the statement process and content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7, 2012, and 2015. In this process, the grammar area was selected as the content area for analysis, and each part of the relevant revised curriculum was compared. Based on the above process, this article judged that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achievement criteria was not explicitly revealed in the curriculum after 2007. This is due to the reason that there is no specific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curriculum in each area such as the educational purpose, human image, content system, and evaluation stated in the curriculum.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it was trying to maintain the causality of the entire system in that it presented core competencie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used them as the motive for the achievement criteria.

목차

1. 들어가기
2. 기존의 비판적 논의
3.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4.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평가와 성취 기준
5.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선(Kim, Young Seon). (2021).국어과 교육과정과 성취 기준의 상관성 연구. 동남어문논집, 52 , 237-269

MLA

김영선(Kim, Young Seon). "국어과 교육과정과 성취 기준의 상관성 연구." 동남어문논집, 52.(2021): 237-2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