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매체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용수 152

영문명
The Current State and Improvement Measures of Media Education in High School: With a focus on the “Language and Media” curriculum and textbook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나영(Kim Nayou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2권 제4호, 303~342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0년대부터 시작된 매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계의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국어교육 분야에 반영되어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선택과목으로 <언어와 매체>가 신설되었으며,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어영역 선택과목으로 <언어와 매체>가 편성되었다. 이렇듯 교육과정뿐 아니라 국가수준평가에도 반영될 만큼 국어과에서의 매체 교육의 위상은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매체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에서 매체를 다룬 첫 교과목이라는 의의를 지닌 <언어와 매체>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고등학교 매체 교육의 현황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와 매체>에 매체 및 매체 언어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고,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틀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 내용에서 선별한 9가지의 내용을 교과서 점검표(체크리스트)로 구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언어와 매체> 5종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와 매체>는 국어교육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된 매체 교육의 방향, 매체 및 매체 언어의 개념, 매체 교육의 범위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성과를 두루 반영했음을 알 수 있었고, 매체의 언어 작용에 초점을 두고 매체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의사소통 및 문화 형성 능력과 태도를 강조했음을 알 수 있었다. 덧붙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매체 언어>와의 비교를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해설이 누락된 3개의 성취기준에 대한 해설이 필요하며, 성취기준 전반에 대해 좀더 상세한 해설이 필요하다는 점과 현대사회의 복잡한 영향 관계를 고려하여 매체의 본질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매체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을 보다 다각적이고 심화된 수준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언어와 매체> 5종 교과서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이 반영된 점검표로 검토한 결과, 교육과정 내용을 전체적인 구성면에서 성실하게 반영하고 있었지만 점검표의 9개 내용 중 2개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다소 형식적이고 부족한 수준으로 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 내용의 양적/질적 보완, 비판적 리터러시 및 문화 향유 능력 향상을 위한 사회문화적 맥락 보완, 과목 내에서의 통합형 교수・학습에 대한 보완, 학습자의 실제 매체 활동과 시의성(時宜性)을 고려한 학습 자료 활용, 학습자 참여형 교수・학습을 고려한 학습 내용 간의 위계와 유기성 보완, 매체 자료 생산과 관련하여 고교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학습 활동 보완, 교육과정 기반의 공통된 학습 내용 반영’이라는 7가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diverse researches and discussions of the educational circles regarding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that began in the 1990s were reflected in the area of Korean education and led to the creation of Language and Media as a selective Korean subject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nd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f 2022. The status of media education in the Korean subject has risen so high that it was reflected in the national-level evaluation as well as a curriculum, which calls for efforts for the substantialization of media education. Taking this situation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Language and Media as the first subject that addressed media in Korean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Language and Media textbook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checking the current state of media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proposing its improvement measures. The study first examined how old discussions about the media and media language were reflected in Language and Media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and checked the content it covered with importance, using the results as a framework to review the Language and Media textbook. The nine areas of content selected from the curricular content were used to make a textbook checklist, which was then used to review five types of Language and Media textbook. The results show that Language and Media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reflected evenly the outcomes of previous studies on the direction of media education, the concepts of media and media language, and the scope of media education that were consistently discussed in Korean education. There was an emphasis on students abilities and attitudes of engaging in communication and creating culture through media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linguistic action of media. The study proposed a couple of improvement measures, as well, including explanations for the three criteria of achievement that were omitted from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based on its comparison with Media Language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more detailed explanations for the entire achievement criteria,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urrounding the media at a more multilateral and intensified level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essence of media based on the complicated influential relations of a modern society. The study then reviewed five types of the Language and Media textbook with a checklist reflecting the main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found that they reflected the curricular content sincerely in overall composition but were materialized at a rather formal and shallow level across all the content areas of the checklist except for two. Based on these findings, seven improvement measures were proposed including supplementation of learning content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supplementation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increase critical literacy and cultural appreciation competence, efforts for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within the Language and Media subject,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based on learners interest, actual media activities, and timeliness, supplementation of hierarchy and organic nature among different areas of learning content fit for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participatory teaching and learning, supplementation of study methods for media production based on a re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flection of common content based on th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언어와 매체> 검토
Ⅲ. <언어와 매체> 교과서 검토
Ⅳ. 결론 - 고등학교 매체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영(Kim Nayoung). (2021).고등학교 매체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인문사회과학연구, 22 (4), 303-342

MLA

김나영(Kim Nayoung). "고등학교 매체 교육의 현황과 개선방안." 인문사회과학연구, 22.4(2021): 303-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