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과 그 의미 연구

이용수 41

영문명
A Study on the Appearances and Significance of Donggguksihwawiseong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권난희(Gwon, Nan-hui)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60輯, 163~20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을 살펴보고, 그것을 중심축으로 대표적 이본들에서 변화된 기록 현황을 함께 추적함으로써 그것이 시사하는 의미를 살피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동국시화휘성』은 洪重寅(1677∼1752)에 의해 1차로 편찬된 필사본이고, 얼마 뒤인 1734년에 洪重徵(1682∼1761)의 서문이 부기된, 『詩話彙成』이란 표제로 재정비가 시도되었다. 그리고 1821년에 沈魯崇(1762∼1837)이 『大東稗林』을 간행하면서 『詩話彙編』이라는 이름으로 전질 속에 수록하였는데, 그 결과 이들 3종이 대표적 판본으로 현존하고 있다. 본고는 먼저 최초본인 『동국시화휘성』의 서술방식과 기록양상을 고찰한 후, 이를 기준으로 『시화휘성』과 『시화휘편』은 어떤 변모양상을 보이는지 추적하였다. 『동국시화휘성』은 방대한 자료를 정리하고 취사선택한 후, 시간 순서대로 인물을 배열해 조목으로 選入하고, 각 인물에 해당하는 시화를 그 조목의 기사로 선별하는 방식으로 편찬되었다. 기존 시화서들에서 보다 한층 전문화된 편찬의식에 입각하여 ‘인물을 세로축으로 두고 정리’하였다. 기본적으로 원자료에 충실한 기록양상을 보였으나, 내용이 번다한 문장은 축약하여 싣거나 인물이 혼재된 기사는 각 인물에 해당하는 내용만 선택적으로 기록하기도 하였다. 기존 기록을 재구성하거나 취사선택하더라도 원전의 내용이나 취지에 반하는 기록 방식을 취하지는 않았으며, 어디까지나 객관적으로 자료를 정리하려는 입장을 견지한 일면도 보인다. 『시화휘성』은 『동국시화휘성』을 저본으로 다시 정리된 필사본이다. 《附 高句麗》에서 《附 百濟》를 독립시키고, 조선에 해당하는 《本朝》 앞부분에 〈列聖宸翰〉을 별도로 신설하였으며, 〈補遺〉 [無名氏] 조목의 하위기사를 대거 추가한 양상과 함께, 선입 조목의 가감도 진행하였다. 또 조목 내의 기사들 중 삭제된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들 대부분 단순 일화성 시화라는 특징을 내재하고 있었다. 『시화휘성』으로 轉寫 과정에서 발생한 變貌들은 체재면에서 좀 더 완비하려는 취지에서 진행된 작업의 결과물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동국시화휘성』과 체재나 내용면에서 기록양상이 상이한 지점은 원저작과는 다른 선입 의식이 적용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시화휘편』은 필사 대상 母本을 ‘그대로 기록하기’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동국시화휘성』 및 『시화휘성』과 『시화휘편』을 대조해보면, 기존 내용을 충실히 기록하였고 거기에 추가된 조목과 기사들이 더 존재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시화휘편』의 기록양상은 현존 『시화휘성』 보다는 오히려 『동국시화휘성』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으며, 『동국시화휘성』과 『시화휘성』에서 서로 가감을 보였던 부분들도 『시화휘편』은 모두 포괄하여 기록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황들을 종합해 볼 때, 『시화휘편』이 필사의 저본으로 삼았다고 지칭한 『시화휘성』은 오늘날 현존하는 『시화휘성』이 아니라 현존 『동국시화휘성』의 편찬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내용면에서 한층 더 보완된 텍스트였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이본 3종의 기록양상 추이를 비교한 결과 『동국시화휘성』은 현실적으로 3종 합집합을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해야 하는 서지적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cording aspect of Donggguksihwawiseon g, chase changes of document from a copy of a different edition and ex press what these changes imply. Donggguksihwawiseong is compiled by Hong Jung-in(洪重寅) at first, sh ortly thereafter it was rearranged as Sihwawiseong by Hong Jung-jing(洪重 徵, 1682-1761). In 1821, it was recorded as a Sihwahwipyeon in Daedong paerim(大東稗林) by Shim No-sung(沈魯崇, 1762-1837). As a result, thes e three versions are now being handed down as representative editions. First of all,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style and recording aspe ct of Donggguksihwawiseong. Based on this, the transformed aspects in Sihwawiseong and Sihwahwipyeon were traced. The compilation of Donggguksihwawiseong was done as follows: Orga nizing and selecting vast amounts of data and arranging people in chron ological order. Making that person as the sub-chapter, an article was co mposed with the relevant material for each sub-chapter. This is organizi ng around the characters , which was not in the existing Sihwa(詩話) co mpilation method. The basic principle of compilation was to faithfully re cord the original source material. However, sentences with miscellaneous contents were abbreviated and recorded. And for articles with a mixture of characters, onl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character was select ed and recorded. However, there was no record that contradicts the conte nts and opinions of the original data. The position to organize the data objectively was thoroughly maintained Sihwawiseong is a reorganization of Donggguksihwawiseong as a mater ial. ‘Bu Baekje(附百濟) was made independent from ‘Bu Goguryeo(附 高句麗) , and Yeolseongsinhan(列聖宸翰) was newly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of ‘Joseon . And a lot of articles of the ‘Mumyeong Ssi(無名 氏)’ sub-chapter was added, and the pre-introduced sub-chapter was also added or subtracted. Some of the articles in sub-chapter have been delete d, and most of them are characterized as simple episodic Sihwa(詩話). T he transformation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moving to Sihwawiseo ng may be the result of work that aims to be more complete in terms o f the system. However, it is undoubtedly an aspect that ha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Donggguksihwawiseong. Sihwahwipyeon describes the transcript subject in the manner of ‘recor ding it as it is . Comparing with Donggguksihwawiseong and Sihwawiseo ng, existing contents were faithfully recorded. Also, sub-chapter and articl es were added thereto. The recording aspect of Sihwahwipyeon was muc h more consistent with Donggguksihwawiseong rather than the existing Si hwawiseong. The parts that showed additions and subtractions to each ot her in Donggguksihwawiseong and Sihwawiseong were often recorded in Sihwahwipyeon. Considering these current circumstances, the Sihwawiseon g, which Shim No-sung referred to as original text of Sihwahwipyeon, w as not at least an extant Sihwawiseong. It would have been a more supp lemented text in terms of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compilation met hod of the existing Donggguksihwawiseong. Also, Donggguksihwawiseon g has a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 that realistically considers the union of these three virsions as one text.

목차

1. 서론
2. 『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
3. 『詩話彙成』으로 轉寫 과정에서의 變貌
4. 『詩話彙篇』의 필사 경위와 기록 현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난희(Gwon, Nan-hui). (2021).『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과 그 의미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60 , 163-201

MLA

권난희(Gwon, Nan-hui). "『東國詩話彙成』의 기록양상과 그 의미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60.(2021): 163-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