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행록에 나타난 조선 후기 만주족에 대한 인식

이용수 122

영문명
Perception of the Manc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ppeared in Yeonhaengrok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전민경(Jeon, Min-Gyeong)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60輯, 97~12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0.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연행록 소재 만주족 관련 자료를 통해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만주족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조선의 만주족에 대한 직접적ㆍ체험적 인식에 초점을 두고자 하여 만주족의 조상인 여진족을 직접 목격한 申忠一의 사례를 먼저 살피고, 이후 본격적으로 조선 후기 만주족에 대한 인식을 연행록 자료를 통해 살폈다. 신충일은 관찰보고서인 『建州紀程圖記』에서 누르하치의 통치 아래 다양한 인종과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목격했고 旗 제도와 변발, 의관 등 여진족의 정체성도 확인하였다. 청 건국 전 이미 그 기틀이 마련되고 있었지만 조선에서는 신충일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만주족의 淸帝國 이후 조선이 만주족의 실체를 인식한 것은 연행을 통해서였다. 기존 역사적 경험에 대한 인식은 연행 체험이 누적되면서 그들의 객관적 실체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만주족에 대한 인식 전환은 이전에는 시도하지 않았던 만주족과의 친교를 맺는 데까지 나아가도록 하였다. 하지만 실체를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해서 항상 객관적 시각으로 만주족을 바라본 것은 아니었다. 洪大容의 화이론 해체를 제외하고는 어떤 화이론도 중화주의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없다. 연행을 통해 실체를 인식하고 친교를 맺으며 인식의 전환과 사유의 심화는 이루어냈지만 화이론적 시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views the perception of the Manchu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materials related to them in Yeonhaengrok. In order to focus on the direct and experiential perception of the Manchus by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a case of Shin Chung-il, who directly witnessed the Jurchens, their ancestors, was examined first, and then the perception of the Manc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in earnest through the data from Yeonhaengrok. According to an observation report written by Shin Chung-il, called Geonjukijeongdogi, he witnessed a mixture of various races and cultures under Nurhachi’s control and also confirmed the identity of the Jurchens, including the banner system, pigtail, and formal attir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ing Dynasty was already being laid before the proclamation of the founding of the dynasty, but the Joseon Dynasty was not aware of the danger for this despite his report. It was through a diplomatic trip to the capital city of the Qing Dynasty, called Yeonhaeng, by delegates of the Joseon Dynasty that the latter appreciated the substance of the former after its establishment by the Manchus. The perception of the existing historical experience started to contribute to the appreciation of the objective substance of the Manchus as the trip experiences accumulated. Change in perception of the Manchus led the Joseon Dynasty to make a friendship with them which had never been attempted before. However, starting to perceive the substance did not always mean looking at the Manchus in an objective manner. No Sino-barbarian(華夷) theory can be said to have deviated from sinocentrism except for Hong Dae-yong’s dismantling of the theory. The Joseon Dynasty appreciated the substance of the Manchus, made a friendship, and achieved a change in perception and intensification of thought through Yeonhaeng, but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couldn’t deviate from the perspective of Sino-barbarian theory.

목차

1. 머리말
2. 淸帝國 이전의 누르하치 여진과 申忠一의 관찰보고
3. 조선 후기 청제국의 만주족에 대한 인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민경(Jeon, Min-Gyeong). (2021).연행록에 나타난 조선 후기 만주족에 대한 인식. 동양한문학연구, 60 , 97-122

MLA

전민경(Jeon, Min-Gyeong). "연행록에 나타난 조선 후기 만주족에 대한 인식." 동양한문학연구, 60.(2021): 97-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