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기계약 전환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균등대우 원칙의 적용
이용수 576
- 영문명
-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Non-fixed Term Worker and Application of Equal Treatment Principle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지순(Park, Ji-Soon)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56권 제3호, 159~201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간제근로자가 기간제법 제4조 제2항에 따라 무기계약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당사자 사이에 별단의 합의가 없다면 원칙적으로 기간의 정함 부분을 제외한 종전의 근로조건이 계속 적용된다. 법률에 의하여 고용형태뿐만 아니라 근로조건까지 강제로 정하는 것은 당사자의 계약자유 원칙을 중대하게 훼손하는 것으로 체약강제에 다름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간제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의 시정이 무기계약직의 합리적 근로조건 형성에도 중요한 전제조건이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무기계약직 전환 근로자에 대하여 원칙적으로 정규직 취업규칙이 곧바로 적용된다거나 기간제법 제8조 제1항에 의하여 차별시정 신청권이 인정된다고 본 대법원 판결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은 장기간 점유되어 개인적 노력으로는 회피할 수 없을 정도로 고정화된 개인적 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당사자의 사적자치(계약)에 의하여 형성된 고용상 지위에 대해서까지 사회적 신분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기계약직에 대한 차별금지 또는 균등대우 원칙을 정한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헌법의 기본적 가치질서로서 평등의 원칙과 민법상 신의칙에 기하여 사용자의 배려의무 또는 인사권 행사에 있어서 공정한 재량의 원칙에 따라 무기계약직의 근로조건을 공정하게 처우해야 하며, 사용자가 자신의 권한을 자의적으로 행사해서는 아니 된다(자의금지원칙). 독일과 일본에서도 사실상 동일한 원리를 승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무기계약직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계약상의 지위이므로 여기에도 사적자치의 원칙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합리적인 근거 없이 자의적으로 무기계약직의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결정하거나 특정 수당을 감액하거나 지급하지 않는 것은 노동법상 평등취급의 원칙을 의미하는 일반 균등대우원칙 또는 균형적 처우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다. 이 경우 근로자의 보호 관념을 고려하면서 사적자치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해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When there is a transition of a fixed-term worker to an non-fixed term contract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2, Article 4 of Fixed-Term Employment Act, previous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are continuously applied unless otherwise agreed between parties concerned. Thus, corrections on the discriminative treatment on the fixed-term worker are the important preconditions for creating reasonabl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indefinite-term employment.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to interpret that rules of employment for regular employee should be applied on the fixed-term worker after transition to the non-fixed term employment.
According to Article 6 of Labor Standards Act, social status means an individual attribute which is firmly fixed and cannot be avoided by personal efforts because it has been occupied for too long. Therefore, social status cannot be guaranteed on an employment status formed upon a private autonomy (contract).
Even if there is no written provisions on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equal treatment principle toward the indefinite-term employment,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 the non-fixed term employment shall be treated fairly in accordance with a principle of fair discretionary power in exercising the employer’s duty to care or exercising personnel management right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s a fundamental value order of the Constitution and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Civil Act. Also, employer shall not exercise his or her right arbitrarily (Principle of Prohibition on Arbitrariness). In fact, Germany and Japan adopt the same principles.
Since non-fixed term employment is a contractual status that employer and employee can choose,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s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However, when the employer decides the terms and conditions of employment fornon-fixed term employment arbitrarily and unilaterally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s, reduces certain allowances, or does not pay such allowances, such acts violate the equal treatment principle and balanced treatment principle meaning the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in the labor law. In such cases, there should be a harmonious interpretation by considering the protection of employee while not damaging the essence of private autonomy.
목차
Ⅰ. 사안과 쟁점
Ⅱ. 판결의 내용
Ⅲ. 무기계약직 전환 후의 근로조건
Ⅳ. 근로기준법 제6조의 사회적 신분 의 의미와 무기계약
Ⅴ. 무기계약 근로자의 균등대우 또는 균형처우에 관한 법리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정절차법상 사전통지와 의견청취의 예외사유
- 경희법학 제56권 제3호 목차
- 법 문언의 언어적 의미
- 사이버스토킹의 법적 규제에 관한 고찰
- 발간사
- 재택근무의 법적 쟁점
- 법학과 법철학—그 상호관계에 관하여
- 근로관계에서 ‘기대권’ 법리의 기능과 한계
-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
- 미국의 증거개시와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의 충돌에 관한 소고
- ‘고용승계기대권’ 에 관한 소고
- 1980년대 신군부정권 하에서의 노동법과 노동운동
- 노동이사제의 도입과 노동자 권익보호에 관한 연구
- 사립대학 구조개혁 법안의 쟁점과 개선방안
- 공화주의의 개념
- 협약자율의 기초에 관한 소고
- Marianne Weber의 시각으로 본 Max Weber의 학문적 여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행정입법의 한계
- 일본에서의 프리랜서의 노무제공과 노동법 논의 현황
- 무기계약 전환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균등대우 원칙의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보험법연구 제18권 제3호 목차
-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에서 보험계약자의 채권자와 보험수익자 간의 이해조정 -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19다300934 판결
- 설명의무 - 보험소송의 도박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