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로관계에서 ‘기대권’ 법리의 기능과 한계
이용수 617
- 영문명
- The Function and Limitation of the Theory of the Right of Expectation in Employment Relationship
- 발행기관
- 경희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은정(Park, Eun-Jung) 권오성(Kwon, Ohseong)
- 간행물 정보
- 『경희법학』제56권 제3호, 253~2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래 법원은 근로관계에 관한 다양한 내용의 소송에서 근로자의 취약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대권’이라는 판례법리를 형성해 내었다. 이러한 기대권은 구체적 타당성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부분이 있다. 그러나, 법원이 만들어 낸 이러한 각종 ‘기대권’에 관한 판례법리는 당사자의 기대(期待)라는 사실이 어떻게 기대권(期待權)이라는 법적 권리를 근거 지을 수 있는가에 대한 법적 논증이 취약하고, 그 결과 기대권의 적용 범위와 법적 효력이 상당히 취약한 상태이다. 나아가, “법해석이 끝나는 곳에서 법형성이 시작된다”는 말처럼 법관에 의한 법형성은 객관적 법규범과 계약의 해석으로 타당한 결론에 이를 수 없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계약의 해석으로 근로자에게 갱신청구권 등 구체적 권리를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굳이 갱신기대권이라는 이론을 원용할 실익이 없을 것이다. 당사자의 의사에 근거한 해결이 가능한 사안에 ‘기대권’이라는 취약한 권리를 적용하는 것은 오히려 근로자의 보호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protect employees’ vulnerabilities, Korean courts have created a theory called the right of expectation in various lawsuits regarding employment relations. These rights of expectation are deserved to positive assessment in terms of specific validity. However, the legal argument about how the facts of expectations could become the rights of expectation is not strong, and, as a result, the scope and effectiveness of the right of expectation are quite weak. Furthermore, like the phrase whe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ends, the development of law by Judge begins, the scope of judicial law-making should be limited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interpretation of statutes and contracts cannot lead to valid conclusions. Therefore, i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allows the employee to acquire a right of a claim such as the right to request a renewal of the employment contract, there is no practical benefit to use the theory of the right of expectation of renewal. Therefore, to apply the right of expectation to the case which can be resolv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would rather have risks of weakening the protection of the employe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근로계약의 기간과 갱신기대권
Ⅲ. 촉탁직 재고용 기대권
Ⅳ. 용역업체 변경 시 근로관계 승계기대권
Ⅴ.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행정절차법상 사전통지와 의견청취의 예외사유
- 경희법학 제56권 제3호 목차
- 법 문언의 언어적 의미
- 사이버스토킹의 법적 규제에 관한 고찰
- 발간사
- 재택근무의 법적 쟁점
- 법학과 법철학—그 상호관계에 관하여
- 근로관계에서 ‘기대권’ 법리의 기능과 한계
- 해고사유 등의 서면통지
- 미국의 증거개시와 EU 일반개인정보보호법의 충돌에 관한 소고
- ‘고용승계기대권’ 에 관한 소고
- 1980년대 신군부정권 하에서의 노동법과 노동운동
- 노동이사제의 도입과 노동자 권익보호에 관한 연구
- 사립대학 구조개혁 법안의 쟁점과 개선방안
- 공화주의의 개념
- 협약자율의 기초에 관한 소고
- Marianne Weber의 시각으로 본 Max Weber의 학문적 여정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행정입법의 한계
- 일본에서의 프리랜서의 노무제공과 노동법 논의 현황
- 무기계약 전환 근로자의 근로조건과 균등대우 원칙의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보험법연구 제18권 제3호 목차
- 타인을 위한 생명보험에서 보험계약자의 채권자와 보험수익자 간의 이해조정 -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19다300934 판결
- 설명의무 - 보험소송의 도박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