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파머(Palmer)의 ‘교육의 영성’ 사상을 이용한 무어(Moore)의 게슈탈트 교육의 이해 확대

이용수 0

영문명
An Application of Palmer’s Thought on ‘Spirituality of Education’ to Understand Moore’s Gestal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여성훈(Sung-Hoon Yuh)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46집, 287~3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게슈탈트 교육”(gestalt education)은 일반 교육학에서나 기독교 교육학에서 간간히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것이 강의법이나 토의법과 같이 정형화된 하나의 교수-학습법으로 만들어져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된 하나의 교수-학습법으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지고 시도하는 사전 작업이다. 어떤 교수-학습법이 정형화 되면 그 구조 안에는 일반적으로 그 교수-학습법의 취지나 전제, 방법, 전개,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위상, 기여와 한계, 평가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그것은 게슈탈트 교육의 정형화 작업에서도 동일하게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하는 논의는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하는 작업 자체가 아니라 게슈탈트 교육을 하나의 체계로 수립하기 전에 해야 할 게슈탈트 교육의 기본 성격 규명을 위한 것이다. 이 논의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로는 무어(M. E. Moore)의 저서, Teaching from the Heart: Theology and Educational Method에 나오는 게슈탈트 방법에 대한 이야기와 파머(P. J. Palmer)의 저서, To Know As We Are Known: A Spirituality of Education에 나오는 교육의 영성에 대한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여기서 규명하려는 게슈탈트 교육의 기본 성격은 세 가지로,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학습 내용과 방법상의 개방성”,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학습자 주도성” 그리고 “부대 학습의 효과”이다. 이 논의는 먼저 무어의 저서에서 추출할 수 있는 게슈탈트 교육의 특성들을 설명한다. 그 후에 이 특성들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을 파머의 저서에서 발췌하여 그것으로 무어의 이야기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사실 게슈탈트 교육을 두고 무어와 파머 사이에 이루어진 대화는 없다. 그러나 파머의 이야기가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인식이요 출발점이다. 한 마디로 이 논의는 이후에 독자적으로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된 하나의 구조로 만들 때 필요한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 규명을 보다 분명히 하는 것이 주작업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업은 게슈탈트 교육을 구조화하는데 필요한 예비 작업으로 이해하면 된다.

영문 초록

Gestalt education has been occasionally discussed in both pub-lic and religious education. However, the gestalt method has not been fully constructed as a lecture method or a discussion method yet. I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can be understood as laying a necessary foundation before the construction of gestalt education. Generally, th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doctrine comprehends its purported aims, presuppositions, methods, the role of teacher and learner, its functions and limits, evalua-tional methods, etc. A full construction of gestalt education also needs comprehension of those elements. But this article is not intended toconstruct the system of gestalt education, but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which will be the found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gestalt education. This discussion is based on M. E. Moore’s statements of gestalt method in her book, Teaching From the Heart: Theology and Educational Method and P. J. Palmer’s statements on educational spirituality in his book, To Know As We Are Known: A Spirituality of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article are the openness of gestalt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and method, the initiative of the learning process in gestalt education, and the effects of concomitant learning in gestalt educa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gestalt education will be excerpted and pre-sented from Moore’s book. Then, Palmer’s statements are used to supplement and clarify the na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ore’s gestalt education in a deeper sense. In fact, Moore and Palmer have not had any communication regarding the issue of gestalt education. But it is a recognition and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that Palmer’s statements are good resources to interpret and understand Moore’s gestalt education in a sup-portive way. The main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oore’s gestalt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lay a preparatory groundwork for constructing gestalt education.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개방성
III.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학습 주도성
IV.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부대 학습 효과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성훈(Sung-Hoon Yuh). (2016).파머(Palmer)의 ‘교육의 영성’ 사상을 이용한 무어(Moore)의 게슈탈트 교육의 이해 확대. 기독교교육 논총, 46 , 287-317

MLA

여성훈(Sung-Hoon Yuh). "파머(Palmer)의 ‘교육의 영성’ 사상을 이용한 무어(Moore)의 게슈탈트 교육의 이해 확대." 기독교교육 논총, 46.(2016): 287-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