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의 중심지 이동과 경관의 변화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

이용수 287

영문명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Movement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Changes of Landscape in Seoul: In Prehistoric and Ancient Time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남규(Lee Nam Kyu)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79집, 3~3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울지역은 선사시대유적들이 존재하기에 적합한 생태적 조건을 갖춘 지역이지만 졸속하고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다수의 유적들이 파괴되었고 그 결과 서울의 선사시대 문화복원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되고 말았다. 선시시대의 경우 구석기시대의 유적들이 산발적으로 확인되며 신석기시대에는 내륙의 집단들이 환경변화에 따라 서해안 쪽으로 이동하면서 생계방식에 전환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서울 동부지역 유적의 증가현상이 보이다가 후기 인구 감소와 함께 고지성취락으로 입지가 바뀌는 양상을 보인다. 초기철기시대의~원삼국시대의 경우는 유적은 별로 알려져 있지 않는 문화적 공백상태를 보이고 있어 『삼국사기』 초기기록에 기초한 문헌사 중심의 백제사 설명은 고고학적 해석에 기초한 역사서술로 전환되어야 한다.. 풍납토성내 3중환호 유적은 재지 집단의 계기적인 발전에 의한 것이라 보기 어려운 상황이고 주변 마한세력들과의 상관관계 하에서 설명되어야 할 역사적 사안이다. 최근 백제 도성지역의 경관복원작업이 고지형분석, 단계별 도성축조, 도성방어체계 변화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은 주목되나 대부분 도성과 고분군 및 일부 취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차후 생태계 복원에 기초한 생산활동, 교통과 물류 및 실생활의 부문들을 포괄하는 종합적 및 동태적인 경관복원 작업이 필요하다. 고구려와 신라의 이지역 지배방식과 관련하여 광의의 시각에서 중심지의 형성과 경관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선사~고대의 양상을 모두 다루다 보니 개괄적 수준에 머물고 말았다. 차후 개별 사안 중심의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Seoul is an area with ecological conditions suitable for the existence of many prehistoric sites, but almost of them have been destroyed by hasty and thoughtless urban development, as a results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construct the prehistoric culture. In case of prehistoric age, Paleolithic sites are sporadically discovered, and in the Neolithic era, inland groups moved toward the west coast due to changes of the environment, apparently changing their way of living. In the early Bronze Age, in eastern part of Seoul there are many sites, but the location was changed to high-altitude settlement with the decrease in the late population. The remains of the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show the condition of the cultural vacuum, the descriptions of Baekje history based on the early records of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hould be converted into historical descriptions based on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s. It is hard to say that the site surrounded by the triple wall in Pungnap earthen fortification was developed step by step by the local community, and it is a historical issue that should be explained under the correlation with the neighboring Mahan forces. It is noteworthy that the restoration of the landscape in Baekje s capital area has recently been centered on analysis of paleomorphology, step-by-step construction of capital city, and changes in the capital defense system, but most of them are limited. Comprehensive and dynamic landscape restoration work covering production activities, transportation, distribution and real-life sectors based on future ecosystem restoration is needed. In relation to Goguryeo and Silla s control of this area, the formation of the center and the changing landscape were examined from a broad perspective. It was only at a general level after dealing with both prehistoric and ancient aspects. In-depth analysis centered on individual issues is needed in the future.

목차

Ⅰ. 머리말
Ⅱ. 잃어버린 서울의 선사시대
Ⅲ. 원사시대 문화의 단절과 회복
Ⅳ. 고대 중심지 형성과 경관의 변화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남규(Lee Nam Kyu). (2021).서울의 중심지 이동과 경관의 변화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 역사문화연구, 79 , 3-32

MLA

이남규(Lee Nam Kyu). "서울의 중심지 이동과 경관의 변화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 역사문화연구, 79.(2021): 3-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