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알 탐가와 알툰 탐가를 통해 본 훌레구 울루스의 印章制度

이용수 146

영문명
An Anaylsis of āl tamghā and altūn tamghā in Hülegü Ulu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석환(Kim, Seokhwa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79집, 285~32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칭기스 칸 이래로 몽골제국에서는 印章制度가 널리 활용되었고, 이는 서아시아에 성립된 훌레구 울루스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일 칸 등 통치집단이 다양한 印章을 활발하게 사용한 데 비해 페르시아어 사료에서는 대개 알 탐가 또는 알툰 탐가로 표현되었다. 이 용어들에 대해 기존에는 알 탐가와 알툰 탐가 모두 일 칸 소유의 印章이며, 특히 알툰 탐가는 국가 재정에 관한 사안에 사용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잔이 개혁을 통해 일 칸의 ‘寶璽’를 가리키는 전용어로서 알툰 탐가를 도입하였고, 알 탐가는 官印을 지칭하는 것으로 구분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本稿에서는 문헌사료와 실물사료에 등장하는 알 탐가와 알툰 탐가의 용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주장들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필자 나름의 결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훌레구 울루스와의 비교를 위해 페르시아어 사료에 등장하는 몽골제국 초기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요 戰線에 배치되거나 작전을 수행하는 고위 아미르와 각 지방의 최고 행정담당관도 각자의 필요에 의해 印章을 보유하였고, 각각 알 탐가로 불렀음을 확인하였다. 알 탐가는 표면적인 뜻 그대로 ‘붉은 인장’이라는 의미로서, 그 자체로 특별한 의미를 가졌다고 보기는 힘들다. 아마도 印章制度를 처음 도입했을 때부터 붉은색으로 날인했기 때문에 기존의 탐가라는 단어에 ‘붉다’라는 뜻의 ‘알’이 첨가된 알 탐가가 印章을 의미하게 된 것이 아닐까 싶다. 소유자의 신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印章 간 계층화가 이루어지긴 했지만 알 탐가라는 용어의 사용을 제한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훌레구 울루스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일 칸의 印章은 알 탐가 또는 알툰 탐가로 불렸지만, 알툰 탐가와 달리 알 탐가는 일 칸만의 전용어는 아니었다. 훌레구 울루스의 행정을 담당하는 바지르는 일반적으로 임명과 동시에 알 탐가를 하사받았다. 고위 아미르의 경우 文獻史料에서 명시적으로 알 탐가를 소유했다는 기록은 발견할 수 없다. 다만 바지르의 알 탐가와 유사한 형식이면서도 붉은색으로 날인된 印章을 각자 자신의 命令文에 날인하였음을 實物史料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몽골제국 초기와 훌레구 울루스 간의 문화적 연속성을 고려할 때 충분히 납득 가능하다. 제7대 일 칸 가잔은 각종 개혁 정책을 추진하면서 印章制度에 대해서도 정비하였다. 그는 대상과 용도에 따라 재질과 크기가 다른 여러 印章들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印章만을 알 탐가로 부를 수 있게 독점했다거나, 별도의 호칭을 사용하도록 강제한 것은 아니었다. 가잔이 알툰 탐가라는 새로운 印章을 제작했지만 『集史』의 기록에 따르면 그것은 어디까지나 재정 관련 문서에 날인하기 위한 것이었고, 이는 실제 용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가잔은 국가 재정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해 특수 목적의 알툰 탐가를 도입한 것이다. 최근 한 연구에서 주장한 것처럼 일 칸의 ‘寶璽’라는 의미에서 그의 印章 전체를 포괄하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훌레구 울루스의 印章制度를 다소나마 규명할 수 있었다. 알 탐가는 몽골제국 초기 이래로 최고 통치자의 印章만이 아니라 붉은색으로 날인된 印章을 포괄적으로 칭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바지르나 아미르가 알 탐가를 사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서 일 칸과의 정치적 역학관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반면 알툰 탐가는 일 칸만이 소유할 수 있었던 것임에는 분명하나, 재정 관련 사안에만 날인되는 印章으로서 일 칸의 印章 전체를 지칭한 것은 아니었다. 소유자에 따른 차등화는 印章 자체가 아닌 날인한 문서의 명칭이나 材質과 크기 그리고 수식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Since Chinggis Khan seals had been used in the Mongol Empire, and it was likewise in the Hülegü Ulus established in West Asia. Although Ilkhan and the ruling group had various seals, they were most described as āl tamghā and altūn tamghā in the Persian historical materials. Scholars considered they were Ilkhan’s seals, and especially altūn tamghā were used on his financial decisions. However, a new research suggested that Ghazan introduced altūn tamghā for Ilkhan’s every seal, and āl tamghā was refered to officers’ seals. In this article, I tried to analyze both cases of āl tamghā and altūn tamghā in historical sources written in Farsi, review other scholars’ claims, and suggest my own conclusion. First, I examined cases of the early Mongol Empire, and it was found that high-ranking amirs who were sent to carry out important operations and primary administrators stationed in provinces had their own seals, which were also called as āl tamghā. Āl tamghā literally means “red seal”, so it is hard to believe it had a special meaning for Mongols. When Chinggis Khan adopted seals from Tatar Tonga, it was stamped in red ink. So, al, red in Turkish, was added to tamgha, and it became to mean a seal itself. There were various kinds of stratifications according to the status of its possessor, but it was not prohibited to use the term, āl tamghā. This was exactly same in Hülegü Ulus. Mongols called Ilkhan’s seal as āl tamghā and altūn tamghā, but they were not exclusive for the khan. Vazirs, who took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as a supreme officer, were given āl tamghā at the time of their appointment. Although there were no historical sources to point that high-ranking amirs in Hülegü Ulus possessed their own āl tamghā, but they had almost same seals with vazirs’ in terms of their colors and forms. It is not difficult to understand it when we consider cultural continuity between the early Mongol Empire and Hülegü Ulus. Ghazan, the seventh Ilkhan, reformed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seals. He arranged his seals, different in materials and size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and functions. However, he did not force others to use another term for their seals except āl tamghā. Ghazan introduced altūn tamghā to use it only on financial or fiscal documents, and this could be confirmed by actual cases. It was a special seal for Ilkhan to take direct control of state finance. It is hard to agree with the opinion that altūn tamghā was referred to Ilkhan’s whole seals, as a scholar insisted. In short, āl tamghā had been used not just for the supreme rulers’ seals, but for those seals stamped in red ink since the early Mongol Empire. It was a natural phenomenon that vazirs and high-ranking amirs used āl tamghā, and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power relationship. Only Ilkhans were able to use and possess altūn tamghā, but it was a particular one of his seals.

목차

Ⅰ. 머리말
Ⅱ. 몽골제국 초기 印章制度와 알 탐가
Ⅲ. 훌레구 울루스의 알 탐가
Ⅳ. 알툰 탐가의 기능과 관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환(Kim, Seokhwan). (2021).알 탐가와 알툰 탐가를 통해 본 훌레구 울루스의 印章制度. 역사문화연구, 79 , 285-323

MLA

김석환(Kim, Seokhwan). "알 탐가와 알툰 탐가를 통해 본 훌레구 울루스의 印章制度." 역사문화연구, 79.(2021): 285-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