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륵사지 통일신라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이용수 209

영문명
Basic Review of the Convex Roof-end Tiles of Unified Silla from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은석(Lee, Eun-Seok)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7집, 248~283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번 연구는 통일신라시대 미륵사의 모습을 확인하고자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4,410점의 수막새 중 948점의 통일신라 수막새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당 수막새는 총 3유형 6형식으로 단판, 중판, 복판으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 이중 복판연화문수막새는 모두 같은 와범에서 제작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복판연화문수막새의 세부형식 ①→②→③ 순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수막새의 편년결과 단판연화문수막새와 중판국화문·보상화문수막새는 통일신라 전기인 7세기 말~8세기 초에 사용되었으며 복판연화문수막새는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이후 사용된 것을 파악하였다. 이중 중판국화문·보상화문수막새는 목탑이 소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719년 이전에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수막새의 편년 결과 미륵사의 8세기 중엽~9세기까지의 약 100년의 공백기가 존재하는데 이때의 공백기는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 보인다. 통일신라 수막새는 각 형식별로 사역 내에서 집중 출토되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수막새의 편년을 출토된 영역에 대입시켜보았다. 결과적으로 통일신라 전기와 후기의 수막새가 사용된 공간에서 차이를 보였다. 통일신라 전기는 중원 탑지와 금당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후기는 반대로 동원과 서원 그리고 남쪽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이는 백제시기 최초로 미륵사가 창건되고 백제의 멸망 이후, 통일신라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사찰의 영역이 변화되었고 전기와 후기에 큰 변화의 범위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around the roof-end Tiles to identify the appearance of Mireuksa Templ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Of the 4,410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Mireuksa Temple in Iksan, 948 roof tiles of Unified Silla were studied. A total of three types and six types of roof-end tiles can be divided into single plates, double-plate, and twin-leaf. It was confirmed that all of the twin-leaf lotus design roof-end tiles were produced in the same frame, and that the double-layered lotus desgin roof-end tiles were produced in the detailed form ①→②→③. As a result of the year-end of the roof-end tile, the chrysanthemum desgin roof-end tile, and Bosanghwa (Arabesque flower) design roof-end tile were used in the late 7th and early 8th centuri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mong them, duble-plate Chrysanthemum desgin and Bosanghwa desgin are believed to have been used before 719 when the wooden pagoda was presumed to have been destroy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age of use of the roof-end Tiles, Mireuksa Temple has a gap of about 100 years between the mid-7th and 9th centuries, which seems to be a challenge to solve in the future. The Unified Silla roof-end Tile seems to have been constructed after designating a building to use. Because each type of excavation has a certain space. Accordingly, the date of use of the roof-end tile was inserted into the excavated location. As a result, the areas in which the roof-end tile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and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were used were different.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was excavated intensively from wooden pagodas and Geumdang sites in the center of the temple. In contrast, the latter were intensively excavated from the eastern, western, and southern areas of the temple. This showed the extent to which the temple s territory chang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fter the first Mireuksa Temple was established during the Baekje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수막새의 형식 분류와 편년
Ⅲ. 미륵사의 변화 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석(Lee, Eun-Seok). (2021).미륵사지 통일신라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마한백제문화, 37 , 248-283

MLA

이은석(Lee, Eun-Seok). "미륵사지 통일신라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마한백제문화, 37.(2021): 248-2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