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북지역 마한 문화와 물질문화 양상

이용수 584

영문명
Growth and material culture of Mahan society in Jeonbuk region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정수옥(Jung, Su-ock)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7집, 170~203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마한 사회의 성장에 따른 정치체의 확산 과정과 물질문화 생산 네트워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전북지역 마한 사회의 실체에 접근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고대 사회에서 집단 간의 생산·교환·교류·교역 등의 교류는 모두 문화와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대규모 취락과 분묘가 출현하고, 물질문화의 생산기술이 집약되는 곳이 전북지역 마한사회의 중심권역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고고 자료를 통해 생산유적의 분포와 생산시스템, 그리고 대규모 취락과 분묘유적의 분포권이 익산, 완주, 전주, 고창 일원으로 일치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이 중심권역을 형성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적의 분포 경향 뿐만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이들 지역이 중심권역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익산지역의 경우 토기, 철기, 유리구슬 생산, 완주 지역의 경우 철기와 구슬생산 기술, 전주지역은 토기생산기술과 대규모 취락군의 형성, 고창지역은 토기생산기술과 다량의 유리구슬이 출토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전북지역 마한 사회의 성장 배경에는 기원전 108년 한군현의 설치와 2세기 후반 ~ 3세기 전반 중국에서 통치체제가 느슨해지면서 유이민의 韓으로의 유입이 이루어졌다는 점도 마한 사회의 변화를 가져왔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전북지역의 익산, 완주, 전주, 고창 일원의 중심권역에 조성된 대규모 취락과 분묘군, 그리고 물질문화 생산 시스템이 구축되는 일련의 과정들은 모두 정치사회적 엘리트 집단에 의해만 체계적으로 움직여질 수 있었으며, 마한 사회의 성장과 확산의 동력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approach the reality of Mahan society in the Jeonbuk reg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process of spreading politics and the network of material cultur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growth of Mahan society. In ancient society, networks of production, exchange, exchange, and trade between groups can all be regarded as the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culture and culture. It was believed that the place where large-scale villages and tombs appeared, and the production technology of material culture was concentrated was the central area of Mahan society in Jeonbuk. Through the archaeological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production ruins and production system, and distribution of large-scale villages and burial mounds were consistent with Iksan, Wanju, Jeonju, and Gochang, and that these areas formed the central area. In addition, not only the distribution trend of the ruins, but also economically, it shows that these regions were the central regions. This is the fact that the Iksan area, earthenware, ironware, and glass beads are produced, in the Wanju area, iron and bead production technology, the Jeonju area is earthenware production technology and large-scale village formation, and in Gochang area, earthenware production technology and a large amount of glass beads are excavated. In the background of the growth of Mahan society in Jeollabuk-do, the establishment of Han Gunhyeon in 108 BC and the loosening of the governing system in China in the late 2nd and early 3rd centuries, the influx of immigrants into Korea is likely to have brought about a change in Mahan society. Therefore, the large-scale villages and tombs,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aterial culture production system in the central areas of Wanju, Jeonju, and Gochang in the Jeonbuk region could all be systematically driven only by political and social elite groups. It can be said that it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and spread of society.

목차

Ⅰ. 머리말
Ⅱ. 전북지역의 마한 분포 양상과 특징
Ⅲ. 전북지역 마한 사회의 물질문화 생산
Ⅳ. 전북지역 마한 문화의 확산과 익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수옥(Jung, Su-ock). (2021).전북지역 마한 문화와 물질문화 양상. 마한백제문화, 37 , 170-203

MLA

정수옥(Jung, Su-ock). "전북지역 마한 문화와 물질문화 양상." 마한백제문화, 37.(2021): 170-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