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이용수 669

영문명
Radiocarbon Dating in Korean Archaeology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황재훈(Hwang, Jae Hoo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0호,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글에서는 1950년대 이래 한국고고학에 있어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의 역사와 연구사를 검토하여 현 학계의 탄소연대에 대한 인식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70년대 탄소연대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하였지만 현재 탄소연대 자료는 고고 자료의 편년 도구로서의 역할을 넘어 인구역학적 연구의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시각의 전환은 탄소연대의 원리와 의미, 고고학적 활용성을 학계에 꾸준히 발표한 연구자와 시료 채집 전략과 매뉴얼을 충실히 수행한 조사원 그리고 99년 도입되어 1만 건에 가까운 시료를 측정해낸 서울대 공동기기원 가속기질량분석기기의 역할이 합치된 결과이다. 1만 7천 건에 달하는 우리나라 탄소연대 자료는 청동기시대 데이터가 가장 높은 비중을 점하는 가운데 원삼국-삼국시대 순으로 이어지며, 초기철기시대의 데이터가 가장 적게 수집되었다. 시료가 채집된 유구는 대부분 주거지와 수혈에 해당하며, 시료 종류는 목탄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최근 고고학 연구의 다양성이 증대되면서 종실, 뼈, 탄착물, 침전물 등 다양한 시료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연대 측정값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체계적 오차(systematic error)가 내재되어 있다. 실험실 간 연대차, 고목효과, 뼈와 패각 시료의 문제, 해양·담수저장 효과 등은 고고학 연구에서 자주 맞닥뜨리는 문제들로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통계학적 검증, 물리·화학적 점검 그리고 고고학적 접근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고학 연구에 있어탄소연대 자료를 보다 안정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고고학적 평가와 점검이 필수적이며근본적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academia s perceptions and research trends of radiocarbon dating through a review of the history and research of radiocarbon dating from the 1950s in Korean archaeology. Although the useless theory of radiocarbon dating was raised in the 1970s, radiocarbon dating data has been actively used as an indicator of population dynamics beyond its role as a tool for dating archaeological data. This shift was achieved by bringing the following factors together: 1) Researchers who have consistently informed the academic world about the archaeological utility of the radiocarbon dating; 2) Investigators who faithfully carried out the strategy and manual of sample collection; 3) The role of the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laborator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s NCIRF, which has measured nearly 10,000 samples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1999. The Bronze Ag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Korea s 17,000 radiocarbon dating data, followed by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with the lowest collection of the Early Iron Age. The remains of which samples were collected are mostly dwellings and pits, and the majority of the samples are charcoal, but as diversity has been emphasized in recent archaeological studies, various samples such as seeds, bones, coal deposits, and sediments are also being measured. There are systematic errors in the radiocarbon dating measurement values ​due to various causes. These are the problems frequently encountered in archaeological research, such as the chronological difference between laboratories, the old wood effect, the problems of bone and shell samples, and the effect of storing marine and fresh water. To correct this, statistical verification, physical and chemical examination, and archaeological review must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order to use radiocarbon dating data more stably and actively in archaeological research, continuous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the data is essential, and empirical studies to find out the cause of fundamental errors should be followed.

목차

I.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II. 한국의 방사성탄소연대 자료 현황
III. 체계적 오차에 대한 실증적 연구
IV. 탄소연대 데이터의 처리와 조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재훈(Hwang, Jae Hoon). (2021).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영남고고학, (90), 5-30

MLA

황재훈(Hwang, Jae Hoon).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영남고고학, .90(2021):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