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지역 삼국~통일신라시대 甁 편년과 전개 양상

이용수 712

영문명
The Chronology and Development Aspect of Bottle of Silla in Gyeongju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박미현(Park, Mi Hyeon)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0호, 205~24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라의 왕경인 경주지역에서 출토되는 신라토기들은 신라 연구에 근간이 되어 매우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병은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전반에 걸쳐 사용된 토기로, 종류도 다양하고 유행시기도 각각 달라 병을 통한 시기별 유행양상 파악이 가능하여 그 가치가 크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병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본고는 경주지역 출토 병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편년과 전개양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병이란 목경비(목저경/동최대경)가 0.5 미만인 것, 즉 목경이 동최대경의 절반 미만에 해당되는 것으로 정의되고 동체와 구경 두 속성을 중심으로 분류된다. 병의 출토양상은 분묘유적, 생활유적, 생산유적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는데, 이를 통해 분묘유적에서 출토되는 부장품과 생활유적에서 출토되는 일상생활용품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준일괄유물과사용연대가 알려진 유구, 절대연대 자료 등을 통해 존속기간을 검토하여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병이 5단계로 나뉘어 전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단계(6C 전엽~6C 중엽) 및 2단계(6C 후엽~7C 전엽)는 삼국시대에 해당되고, 3단계(7C 중엽~7C 후엽)와 4단계(8C 전엽~8C 중엽) 및 5단계(8C 후엽~9C 이후)는 통일신라시대에 해당된다.시기별 특징을 살펴보면 삼국시대 병은 주로 분묘유적에서 출토되며 구형병, 편구병이 대표적이다. 통일신라시대 병의 경우, 생활유적에서 대부분이 출토되고 편구병, 세장경병, 편병 등 다양한 유형이 공존한다. 또한 통일신라시대 병의 전개양상은 인화문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인화문의 유행과 병행하여 연구하였다.

영문 초록

The Silla pottery excavated in Gyeongju is excavated from the central area of Wanggyeong and is based on Silla research. Among them, the bottle was used throughout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Nevertheless, there is no detailed study of the entire bottles, so I want to analyze the bottles from Gyeongju and conduct A study of Chronology on the entire bottles. A bottle is defined as less than half its bodymax diameter. Bottles were grouped around two attributes: body and rim. The classified bottles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m into burial sites, living relics, and production relics, and classified into burial items and everyday items. The period of development of the bottl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verified by reviewing the semicolonial relics, the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were designated axis of the year, and the absolute solidarity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Bottle in Unified Sill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divided into Five-Steps. Step 1 (the early 6C ~ the mid 6C), Step 2 (the late 6C ~ the early 7C) is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Step 3 (the mid 7C ~ the late 7C), Step 4 (the early 8C ~ the mid 8C), Step 5 (the late 8C ~ After 9C) corresponds to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bottle excavate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usually excavated from the tombs, and globular bottle and spheroid bottle are representative. The bottle foun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s usually found in the living relics, and there are a variety of types of bodies, including oblate spheroid-shaped bottle, a long-necked bottle. The pottery of the Unified Silla Period should be studied in parallel with pottery with stamped design, because the chang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ottery with stamped design and bottle are closely related.

목차

I. 머리말
II. 연구대상 및 유형 설정
III. 시간성 검토 및 단계 설정
IV. 시기별 병의 특징과 전개 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현(Park, Mi Hyeon). (2021).경주지역 삼국~통일신라시대 甁 편년과 전개 양상. 영남고고학, (90), 205-242

MLA

박미현(Park, Mi Hyeon). "경주지역 삼국~통일신라시대 甁 편년과 전개 양상." 영남고고학, .90(2021): 205-2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