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헌, 지리 그리고 고분을 통해 본 삼국시대 김천지역 세력의 구성과 동향

이용수 298

영문명
The Composition and Trend of Gimcheon Region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Literature, Geography and Ancient Tomb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이진혁(Lee, Jin Hyuk)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0호, 171~20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삼국시대 김천지역 세력집단의 구성과 동향을 논의한 연구이다. 먼저 삼국시대 김천지역의 세력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문헌과 지리적 특징 그리고 고분의 분포양상 등을 통해 살펴보았고, 이후 김천지역 고분의 전개양상을파악하여 그것의 의미를 역사적 배경과 함께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파악한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감문국(甘文國)의 중심에 대한 것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김천지역에는 신라에 의해 복속되기 이전 감문소국이라는 읍락국가가 존재하였다. 지금까지 삼국시대 김천지역의 감문군이나 그 이전 감문소국의 중심지는 지금의 개령면 동부리의 감문산 일원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김천지역 내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삼국시대 고분군의 분포 및 그 양상으로 미루어 감문국의 중심지는 개령면 일원이 아닌 ‘금물’의 감문면 문무리 일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 문무리고분군의 주요 특징은 재지색이 매우 짙다는 것인데, 이는재지세력의 전통적 기반이 강하였던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말해주듯 문무리고분군은 김천지역 내 단일고분군으로 규모가 가장 크다. 그리고 그 성장 배경이 고분의 양상으로 보아 신라중앙의 지원 아래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으므로 삼국시대 문무리 일대가 성장할 수 있었던 일차적 배경은 소국단계의 전통적 기반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신라의 진출 이후 지역 세력의 동향에 대한 것이다. 5세기대 신라의 지방지배 방식은 소위 ‘간접지배’라는 형태이다. 그러나 그러한 지배방식이 모든 지방에 일률적으로 적용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재지세력의 규모나, 지정학적 위치 등의 변수에 따라 통제의 방식을 달리하며 지방지배를 실현하였을 것이다. 이에 김천지역은 고분의양상으로 미루어 신라로부터의 정치적 통제가 비교적 약하게 미쳤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감문국을 토벌하고 격파하였다’는 삼국사기의 복속기사 역시 유의미하므로 신라 진출 이후 어떠한 방식으로든 지역세력의 재편은 이루어졌을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는 이러한 양상을 잘 보여주는 고분군으로 금물의 문무리고분군, 감문의 용전리 유적·양천리376-1번지 석곽묘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라의 영역확장 과정에서 신라의 후방기지로서의 김천지역에 대한 것이다. 5세기대 백제와의 동맹 관계에 있던 신라는 고구려 방어를 위하여 소백산맥 이서지역으로 진출하는데 지금의 충북 보은, 옥천 지역 등이다. 그러나 백제와의 관계가 급속히 악화되면서 소백산맥 이서의 전초기지를 지원할 수 있는 후방기지로 김천지역이 부상한다. 문헌에서는 ‘금산당주(金山幢主)’라는 표현이 확인되고 ‘금산’의 모암동·성내동고분군의 고분양상이 경주지역과 깊은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후방기지로의 역할이 대두될 때, ‘금산’이 부상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6세기 전엽 신라는 ‘지례’ 방면으로 소백산맥 이서의 전북 무주 무풍·설천면의 ‘무산’을 지나 그 서쪽까지 진출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composition and trend of power in Gimcheon regio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First, this tried to figure out how the forces of the district in Gimcheon regio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formed through literature, maps, geographical features, and patterns of distribution of ancient tombs, and later examined the development of ancient tombs in each of the districts to consider its meaning with historical background. There are three main things that have been discovered through this way. The first is about the center and range of Gammun-guk. According to Samguk Sagi, there was a village country called Gammunso-guk in Gimcheon region before it was subjugated by Silla. So far, Gammungun or former Gammunso-guk s center was presumed to be the area of Gammunsan Mountain in Dongbu-ri, Gaeryeong-myeon. However, it is assumed that Gammun-guk s center was not the area of Gaeryeong-myeon but the area of Gammun-myeon Munmuri-ri of Eomo district,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ancient tombs from the Bronze Age in the Gimcheon area. The growth background of the group who built the Munmuri’s tombs can be found on the traditional basis of the small-national stage. The second is about the trend of the political group in Gimcheon region after Gimcheon region realigned by Silla. Silla did not place a foothold in the center of the existing small country as part of its regional reorganization plan, but established a central base in the eastern part of Gaeryeong, which is believed to have had a weak traditional base. Along with that, it is believed that the Bonghwajae area where Yongjeon-ri and Chogok-ri remains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of Gamcheon river grew together as a hinterland. Finally, it is about Gimcheon region as the rear base of Silla in the process of expanding its territory. Silla, which was affiliated with Baekje during the 5th century, advanced to thewestern part of the Sobaeksan Mountain Range for the reasons of defending Goguryeo, including the regions of Boeun and Okcheon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However, as relations with Baekje deteriorated rapidly, Gimcheon region is important as a rear base that can support the outpost of Sobaeksan Mountain Range. The term Geumsan Dangju is shown in the literature and the aspect of the Moam-dong and Seongnae-dong tombs in the Geumsan District showed a deep similarity to the Gyeongju region, which is believed to have grown when the role of the rear base became important.

목차

I. 머리말
II. 삼국시대 김천지역 세력의 구성
III. 고분의 편년과 양상
IV. 지역 내 고분 축조집단의 동향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혁(Lee, Jin Hyuk). (2021).문헌, 지리 그리고 고분을 통해 본 삼국시대 김천지역 세력의 구성과 동향. 영남고고학, (90), 171-204

MLA

이진혁(Lee, Jin Hyuk). "문헌, 지리 그리고 고분을 통해 본 삼국시대 김천지역 세력의 구성과 동향." 영남고고학, .90(2021): 171-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