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변한인의 중서부지역 이주와 그 역사적 함의

이용수 608

영문명
Jin·byeonHan Person’s Migration in the Midwest region and Historical Implications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박장호(Park, Jang Ho)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0호, 109~14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서부지역의 진·변한계 분묘는 목관이나 목곽을 매장주체부로 사용하는 토광묘로 대부분 평탄한 구릉 사면부에위치하며, 소규모로 군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덤 내부에는 고식와질토기의 대표기종인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와주머니호, 양이부호, 장동옹 등의 토기류와 단조철부, 철모, 동병철검 병부 등의 금속류가 부장된다. 본 연구는 동남부지역의 물질문화인 진·변한 와질토기가 어떻게 중서부지역에 부장되게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을밝히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진·변한 와질토기가 부장되는 무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고, 부장된 유물에 대한검토를 통해 진·변한 와질토기를 부장한 세력의 성격을 추론해 보려고 하였다. 진·변한계 분묘를 검토하여 입지조건이 동남부지역과 동일하고 충전토와 요갱의 사용, 그리고 충전토 상부나 충전토 내부에 유물을 부장하는 방식 등이 동남부지역의 목관묘와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중서부지역 진·변한계 분묘는 동남부지역 출신 사람의 무덤으로 볼 수 있으며 진·변한인이 이주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진·변한 와질토기 중 동남부지역과는 다른 제작기법이 관찰되는 토기가 확인된다는 점을 들어재지생산 가능성과 함께 재지세력의 존재가능성을 유추하였다. 재지세력의 존재는 나주 구기촌세력과 같은 기존의 점토대토기를 사용하는 집단이 존재할 가능성을 검토하여, 공주 수촌리유적과 서산 동문동유적의 세력을 통하여 재지세력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재지세력은 점토대토기를 기반으로 하는 세력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진·변한인의 이주요인은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교류 및 교역을 위한 집단으로 보았으며, 분묘가 소규모 군집화가이루어지고 유물 부장량이 소략하다는 점과 유적이 교통로 상에 위치한다는 점과 점점이 위치한다는 점을 통해 교류를위한 거점적 역할을 하는 집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유입경로를 유적의 위치와 지형을 통해 상주의 화령을 통해 보은을거쳐 미호천유역으로 진입하였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e tombs in the mid-western region are earthy tombs that use wooden coffins or wooden caps as burial bodies, and are mostly located on flat hilly slopes and are generally clustered on a small scale. Inside the tomb, pottery such as a combination-type right-angled guard sign, pocket sign, yangyi sign, and jangdong-ong,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models of Gosik and Jil pottery, and metal items such as forged iron parts, helmets, and bronze iron swords, are buri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question of how the jin· Byeonhan Wajil Earthenware,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outheastern region, became buried in the Midwest region. To this end, a review was conducted on the tomb in which the real Wajil pottery was k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who had the real Wajil pottery were deduced through the review of the buried relics. After reviewing the true tomb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ocation condi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d that the use of refilled soil and ridges, and the method of storing relics on the upper or inside refilled soil are similar to those in the southeastern region. there was. Through this, the tombs in the midwestern region can be seen as tombs of people from the southeastern region, and the result of the immigration of person from Jin·byeonha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and the existence of local power was inferred by considering the fact that among the real wajil pottery, pottery with a different production technique from the southeastern region was observed.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group using existing large clay pottery such as the Naju Gugichon power,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local power existed through the powers of the Gongju Suchon-ri ruins and Seosan Dongmun-dong ruins. It was estimated that the indigenous forces are likely to be forces based on clay large pottery. The migration factors of Jin·byonhan person were regarded as a group for exchange and trade due to economic factors, and the tombs were clustered on a small scale and the amount of relics stored was minimal, and that the ruins were located on the traffic route, and that there were more and more places. It was estimated as a group that plays a role of base for exchange through And it was estimated that the inflow route entered the Mihocheon basin through Boeun through Hwaryeong in Sangju through the location and topography of the ruins.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서부지역 진·변한계 분묘의 양상
Ⅲ. 중서부지역 진·변한계 분묘의 조영시기
Ⅳ. 진·변한인의 이주에 대한 역사적 함의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장호(Park, Jang Ho). (2021).진·변한인의 중서부지역 이주와 그 역사적 함의. 영남고고학, (90), 109-140

MLA

박장호(Park, Jang Ho). "진·변한인의 중서부지역 이주와 그 역사적 함의." 영남고고학, .90(2021): 109-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