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휠체어 사용 학생의 자세변형

이용수 0

영문명
Postural deformities of wheelchair users with disabled students: Influence of anthropometric data compared with wheelchair size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정동훈(Jeong, Dong-Hoon)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0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부자유 학생들의 자세변형을 평가하고, 인체측정을 통한 자료와 휠체어의 부위별 치수와의 비교 검토를 통해 휠체어 사용과 관련된 자세 문제를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부분이 자신의 체형과 기능, 그리고 장애에 맞지 않는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관절구축과 자세변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휠체어 앉기 균형능력이 부족하고 비정상적인 근긴장도를 보였는데, 이는 자세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착석시스템의 자세지지를 통한 맞춤형 휠체어(special seating)의 사용이 요구되며,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휠체어 서비스를 위한 제도 마련 및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평가 과정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has two central goals: 1) to assess the postural deformities of wheelchair users with disabled students; and 2) to analyse the effects that can lead wheelchair users to a postural deformities as a compare anthropometric data with wheelchair siz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ll of the disabled students in our study has a postural deformities and did not possess an appropriate wheelchair in terms of their need, disability and body size. And besides, many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 more postural support than is provided by an ordinary wheelchair.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the optimal seating position and seating system in wheelchair ought to provide postural control. And so prevent postural deformity. In the second place, identifying the special seating requires multiple evaluations by a wheelchair specialist. This paper has two central goals: 1) to assess the postural deformities of wheelchair users with disabled students; and 2) to analyse the effects that can lead wheelchair users to a postural deformities as a compare anthropometric data with wheelchair siz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ll of the disabled students in our study has a postural deformities and did not possess an appropriate wheelchair in terms of their need, disability and body size. And besides, many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 more postural support than is provided by an ordinary wheelchair.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the optimal seating position and seating system in wheelchair ought to provide postural control. And so prevent postural deformity. In the second place, identifying the special seating requires multiple evaluations by a wheelchair specialist.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동훈(Jeong, Dong-Hoon). (2007).휠체어 사용 학생의 자세변형.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 (3), 1-21

MLA

정동훈(Jeong, Dong-Hoon). "휠체어 사용 학생의 자세변형."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3(2007):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