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휠체어 사용자의 일상생활자립도 및 생활적응실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ractice of Independent Daily Activities and Life of Wheelchair User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박재국(Park, Jae-Kook) 조홍중(Cho, Hong-Joong) 한경근(Han, Kyoung-Gun) 김영미(Kim, Young-Mi) 임혜경(Lim, Hae-Kyoung)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0권 제3호, 109~12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0.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휠체어 사용자의 보다 효율적인 일상생활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들의 기본적인 생활적응실태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전국의 휠체어 사용자(N=663명)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그들의 일상생활자립도 및 생활적응실태에 관하여 조사하고,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된 결론을 얻었다. 첫째, 휠체어 사용자 중 여성일수록, 뇌병변장애인일수록, 그리고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타인에 대한 일상생활자립 의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휠체어로 이동하기는 남성에 비해 여성의 의존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증 장애를 가진 휠체어 사용자들의 일상생활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 전반에 걸친 활동보조원 제공 및 재활훈련 실시 등 정부차원의 다각적인 대책마련에 대한 필요성과 시사점을 제공한다. 둘째, 휠체어 사용자 중 뇌병변장애인의 경우 주로 부모와 함께 거주하면서 특수학교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체장애인의 경우는 시설과 같은 곳에 주로 거주하면서 특수학교와 장애인관련단체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뇌병변장애인과 지체장애인들 모두 재활치료 정도가 물리치료, 특수교육, 작업치료 그리고 의사진료 및 약물치료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휠체어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차원에서의 재활치료시설 확대 및 다양한 치료를 위한 지원금 제공 등 정부차원의 복지정책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휠체어 사용자 중 경증장애인은 중증장애인에 비해 부모와의 동거 비율이 높았으며 특이하게도 소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증장애인의 자립 또는 취업지원에 대한 현실적 열악성 및 추후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policies that facilitate wheelchair users independence of daily activities and life by examining the practice of their daily life activities. A total of 663 people with wheelchair-use across the country was surveyed,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primar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level of daily life independence was lower for women, cerebral palsied people, and those who belonged to the severe disability class. In particular women with wheelchair-use were heavily dependent in the daily life activities. These findings implied the needs of governmental support policies regarding supportive personnel and rehabilitative training across the daily life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independence for those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use wheelchairs to move. Second, wheelchair users with cerebral palsy were mainly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received related therapies and medical services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hospitals while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received the services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disability-related agencies. The services that both populations received were PT, special education, OT, medications, and direct services from medical professional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needs of renewed governmental welfare policies regarding monetary provision for medical services including therapies and expanding rehabilitative facilities in communities. Finally, many wheelchair users with milder disability conditions were living with parents, and interestingly the level of their regular income was low. This finding indicated the deteriorated practice of independence and vocational supports, and also suggested the needs of future research effor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국(Park, Jae-Kook),조홍중(Cho, Hong-Joong),한경근(Han, Kyoung-Gun),김영미(Kim, Young-Mi),임혜경(Lim, Hae-Kyoung). (2007).휠체어 사용자의 일상생활자립도 및 생활적응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 (3), 109-128

MLA

박재국(Park, Jae-Kook),조홍중(Cho, Hong-Joong),한경근(Han, Kyoung-Gun),김영미(Kim, Young-Mi),임혜경(Lim, Hae-Kyoung). "휠체어 사용자의 일상생활자립도 및 생활적응실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0.3(2007): 109-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