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The Study for the Factors of Core Competency and Self-Perception of Parents in the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박재국(Park, Jae-Kook) 서보순(Seo, Bo-Soon) 김혜리(Kim, Hye-Ri)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54권 제1호, 61~8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들의 효과적인 자녀양육을 위해 부모들에게 요구되는 양육 핵심역량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양육을 통해 부모와장애아동이 삶의 질을 높이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장애아동 부모 양육 핵심역량 요인을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요인에 대한 부모들의 중요도 평정, 요인분석을 통해 적절성을 검토하여 양육태도, 양육기술, 양육지식, 가족협력, 양육효능감, 사회협력으로 구성된 6개 영역, 41개 항목의 장애아동 부모 양육 핵심역량 요인이 탐색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양육 핵심역량에 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얻고자 P 광역시 장애아동부모 233명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에 대한 자기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장애아동 부모들은자신의 양육 역량에 대해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의 자기인식을 나타내었다. 자녀의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부모의 맞벌이 여부는 자기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으며,어머니의 자기인식이 아버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actors of the core competency and to analyse self-perception of parents for the effective c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actors of core competency in the ca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developed by studying past studies and conferring with the experts. The 6 areas including the 41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the parents appraisal of the materiality and the review of the adequacy for the factor analysis. The 6 areas were consisted with care efficiency , the attitudes of care , the knowledges of care , the skills of care , the family collaboration , and the social collaboration . The research for the level of the self-perception for the 233 parents residing in P local government figured out the slightly up than the normal level of the self-perception. The comparison study was implemented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parents with disabilities. The self-perceptions influenced by child s type of disability, degree of disability. And mothers were the higher than fathers as the degree of the self-perception. The parents working togeth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perception, too.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국(Park, Jae-Kook),서보순(Seo, Bo-Soon),김혜리(Kim, Hye-Ri). (2011).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 (1), 61-85

MLA

박재국(Park, Jae-Kook),서보순(Seo, Bo-Soon),김혜리(Kim, Hye-Ri).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1(2011): 6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