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성

이용수 662

영문명
Concepts and Spatiality of Social Space: Historical Practices and the Constitution of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ctor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성용(6PARK Song-Yong)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7집, 33~6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한국 문화인류학 분야에서 사회적 공간의 연구동향에 대한 검토가 괄목할만하게 이루어진 바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된 국내외의 민족지적 연구들을 다루면서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이론적 시각, 그 구성과정 및 공간성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1940년대 이후 문화인류학자들은 사회적 공간이란 개념을 통해 사회・문화적 현실을 연구해왔다. 그들의 개념 속에 보이는 공통된 정의에는 세 가지가 있다. 먼저 사회적 공간이란 사회행위자가 의미재현적・실천적 행동을 통해 물리적 공간을 경험된 공간으로 전환하는 가운데 사회・문화적 현실이 공간적 제 요소와 상호작용하면서 배열・구성된 사회관계와 공간적 관계의 체계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공간은 사회구성원들의 무의식적 활동에 내재하는 규칙이 공간적 사회관계의 구조로 변형되어 나타난 반영체로 정의하기도 한다. 그밖에 사회행위자들이 어떠한 위치에서 자리매김한 집단의 특정한 역사 속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현실들이 공간적 제 요소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생산된 공간적 구성체라는 정의가 있다. 둘째, 사회적 공간은 사회행위자의 의도적 실천과 공간적 수행능력, 그리고 집단의 공간적 역사가 상호지지하는 가운데 구성된다. 공간적 수행능력은 역사와 문화를 통해 중재된 사회주체의 실천능력이다. 행위자들의 공간적 수행능력은 그들의 삶의 역사, 사회적 위치, 이해를 추구하기 위한 상황별 실천전략과 행동의 선택 등과 관련하면서 공간적 관계를 다양하게 구조화하는(구조화된) 데 영향을 준다. 셋째, 사회적 공간의 공간적 성질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먼저 사회적 행위자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의 시간성을 바탕으로 의도적 실천을 하며 구성원들이 역사를 선택하고 기억할 때 역사성을 부여한다. 사회구성원들은 인식할만한 집단적 사건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중층적 역사성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사회적 공간은 포괄적 관계성을 가진다. 이것은 사회주체들이 마을과 지역, 국가, 세계사회 차원에서 장소, 경관, 생활공간 등의 분야에서 사회범주들 간의 문화정치적 상호관계와 힘들이 역사과정을 통해 복합적으로 실천됨으로써 생산된 공간성이다. 마지막으로 행위주체들은 오랜 기간을 거치면서 어느 집단에 대해 포함과 배제의 전략을 행하면서 통합 혹은 분리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한다. 그들은 이에 대한 역사적 기억이나 이데올로기를 통해 상이한 소속감을 실천하면서 영토적 장소로서의 공간성을 생산한다.

영문 초록

So far, a comprehensive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social space has been lacking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al anthrop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patiality and the constitutive process of the social space that anthropologists have discussed mainly through ethnographic studie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First, since the 1940s, some anthropologists have studied social and cultural reality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space. Generally, in anthropology, social space can be defined by the constituted systems between social relationships and spatial relationships as social actors build an experience of space based on physical characteristics interpreted through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practices. Social space reflects the structure of socio-spatial relationships that represent rules of unconscious activities among social members. In addition, spatial formations are produced through mutual interaction between diverse societies, cultural realities, and spatial elements in specific historical processes. Second, social space is constituted by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intentional practices of social actors, spatial agency, and collective history. Spatial agency is the performance capability enabled through the history and culture of social subjects. The spatial agency of social actors could influence the structuring or structured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their life history, social position, situational practice strategies, and choices of action for the purposes of pursuing their interests. Third, there are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Social actors practice intentional actions based on the temporality of their groups. When they select and perceive a history of experience based on signified collective events, a multi-layered historicity of social space is constituted. Next, social space has an encompassed relatedness. This is produced spatiality through the complex social practices of the social actors that relate to the cultural and political interrelationships and forces that exist between social categories (i.e. gender, social class, ethnic group, lineage group, etc) based on historical process at the dimensions of the village, region, nation-state, and world. Finally, active subjects exercise inclusive and exclusive strategies over time, and produce either divided or integrated social spaces. As they practice their different sense of belonging-ness through historical memories or ideologies, they create spatiality of territorial place.

목차

Ⅰ. 사회적 공간의 개념
Ⅱ. 제 민족지에 나타난 몇 가지 연구동향
Ⅲ. 실천적 행동과 주어진 역사, 그리고 공간적 관계의 구성과정
Ⅳ. 사회적 공간의 공간성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용(6PARK Song-Yong). (2021).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성. 민족문화논총, 77 , 33-66

MLA

박성용(6PARK Song-Yong). "사회적 공간의 개념과 공간성." 민족문화논총, 77.(2021): 33-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