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대 목간의 용도와 형태 분류

이용수 210

영문명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Korea s Ancient Wooden Tablets by the Use and Form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경섭(LEE, Kyoung-sup)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7집, 243~28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4.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한국의 목간은 현재까지 신라와 백제의 유적에서 600여 점 정도가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전체 목간의 용도와 형태를 정리하면서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이들 목간은 형태상으로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홈형, 기타의 목간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용도는 크게 文書목간, 꼬리표[附札]목간, 기타 목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문서목간은 문서의 발신과 수신이 확인되는 좁은 의미의 문서목간과, 帳簿・集計・傳票・考課 등의 기록목간으로 분류된다. 꼬리표목간은 이동하는 세금이나 공진물에 부착된 짐꼬리표[荷札]와 물품의 보관에 사용된 물품꼬리표[物品附札]로 나눌 수 있다. 기타 용도로는 呪術・儀禮, 典籍(論語), 글자 연습용, 명함, 구구단 목간 등의 사용이 확인된다. 목간을 재활용하기 위해 사용된 목간의 표면을 깎은 부스러기도 발견되었다. 이 과정에서 문서목간은 장방판형, 다면형, 원주형 목간들이 이용되었고, 꼬리표목간은 홈형 목간이 사용되었다. 기타 용도의 목간들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특히 좁은 의미의 문서목간은 주로 다면(원주)형 목간이 사용되었고, 기록목간은 장방판형 목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꼬리표 목간은 주로 아래쪽에 홈을 새겼고, 백제의 꼬리표 목간은 위쪽에 홈을 새겨서 사용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러한 경향은 통일 이후 위쪽에 홈을 새긴 꼬리표 목간으로 변화한다. 기본적으로 목간의 제작과 사용은 그 용도에 부합하는 형태가 채택되어 사용되었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In Korea, approximately 600 wooden ancient tables have been excavated in relics of Silla and Baekje. This study set out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ystem by sorting out the entire ancient wooden tablets of Korea by the use and form. The wooden tablets were made in the forms of rectangular plate, multisided, circumferential, groove, and other types. Their uses mainly include documents, receipts, and others. Wooden tablets for documents are further divided into wooden tablets as documents whos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be checked in a narrow sense and wooden tablets as records including ledgers, accumulations, statements, and evaluations of merits. Wooden tablets for receipts can be divided into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tributary payments or taxes and wooden tablets for receipts of goods used to store goods. Other uses included incantations and ceremonies, Jeonjeok (Analects of Confucius), practice of writing letters, business cards, and multiplication table. Fragments were also found which were from the planing of wooden tablets on the surface for recycling. In this process, wooden tablets of rectangular plate, multisided, and circumferential types were used for documents, and those of groove type were used for receipts. Wooden tablets of other uses were made and used in various forms that would suit their uses. Basically, the production and use of wooden tablets was based on the selection and use of forms that would suit their uses.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서목간과 형태
Ⅲ. 꼬리표목간과 형태
Ⅳ. 기타 용도의 목간과 형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섭(LEE, Kyoung-sup). (2021).한국 고대 목간의 용도와 형태 분류. 민족문화논총, 77 , 243-286

MLA

이경섭(LEE, Kyoung-sup). "한국 고대 목간의 용도와 형태 분류." 민족문화논총, 77.(2021): 243-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