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arly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rotophones in the First Year of Life

이용수 51

영문명
한국 영아의 초기 원시발성 산출과 발성 발달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류현주(Hyunjoo Yoo) D. Kimbrough Oller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1, 1~1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영아의 원시발성(protophones) 발달은 말-언어발달의 중요한 기초가 된다. 원시발성 중에서도 발성 조절(phonatory control) 발달과 연관되는 중성(vocant), 고성(squeal), 탁성(growl)의 발달은 조음 및 발성 발달에 중요한 선결과제이다. 더욱이 원시발성이 신생아 시기에도 산출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말-언어발달 연구 및 임상을 위해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원시발성의 신생아 시기 산출 여부, (2) 생후 일년 동안의 원시발성과 울음의 산출량 및 발달, (3) 원시발성 유형의 월령별 발달 추이를 조사하는 데 있다. 더불어 원시발성의 자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양육자의 언어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원시발성의 산출 비율을 조사하였다. 방법: 일반 영아 16명을 대상으로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system) 녹음기를 이용하여 종단 연구의 일환으로 발성 자료를 수집하였다. 영아 생후 일년 동안의 원시발성 발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발성 유형을 청지각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평균 산출량 및 분당 평균 산출량을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하여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t-test와 ANOVA가 사용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신생아 시기에도 울음이 아니라, 원시발성이 현저히 산출 비율이 높았으며, 양육자의 언어 자극이 없는 환경에서도 원시발성이 자발적으로 산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신생아 시기의 자발적인 원시발성의 조기 출현과 말-언어발달과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peech-like vocalizations (i.e., protophones) are precursors to speech. Infants produce various types of protophones (e.g., squeals, vocants and growls), practicing phonatory control before mastering articula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infant vocal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production of protophones from the beginning of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early emergence of protophones, (2) to measure volubility for both cry and protophones across the first year of life, (3) to explore effects of age and types of vocalizations, and (4) to examine protophone volubility in circumstances where the caregiver did not speak to or in the vicinity of the infant. Methods: 16 typically developing Korean-learning infants participated in all-day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recordings in their homes as part of a longitudinal study. We categorized infant protophones as either squeals, vocants, growls, or cries based on auditory/acoustic criteria. We calculated average numbers of each type of vocalization and average vocalizations per minut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even in the first month of life, infants do not merely cry, but instead predominantly produce protophones. Infants also endogenously produced protophones from the beginning of life in the absence of caregiver language inpu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ven in the first month protophones begin to occur, and may form a foundation upon which vocal category development and vocal interaction can proceed rapidly.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현주(Hyunjoo Yoo),D. Kimbrough Oller,하승희(Seunghee Ha). (2021).Early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rotophones in the First Year of Lif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 1-12

MLA

류현주(Hyunjoo Yoo),D. Kimbrough Oller,하승희(Seunghee Ha). "Early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rotophones in the First Year of Lif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1(2021): 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