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arental Responses to Infants’ Prelinguistic Vocalization

이용수 89

영문명
언어이전기 아동 발성에 대한 부모의 반응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유란(Yuran Lee)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1, 13~2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수집된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자료를 토대로 아동의 발성 이후에 나타나는 부모 반응과 반응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8-9개월 된 일반아동과 부모 20쌍을 대상으로 언어 환경 분석기(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루동안 수집된 녹음자료를 5분 간격으로 나누어 만든 전체 음원 파일 중에서 아동의 발성이 많은 상위 20개 자료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아동 발성은 자음-모음의 음절 포함 여부에 따라 음절성 옹알이와 비음절성 옹알이로 분류하였다. 부모 반응은 무반응, 아동의 발성과 관련 있는 반응, 관련 없는 반응으로 나눠 살펴보고, 이 중 관련 있는 반응은 8가지 반응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이 발성을 산출한 이후 무반응 비율이 가장 높기는 했으나, 아동의 발성과 음성적, 의미적으로 관련 있는 반응도 전체 상호작용에서 24.51%를 차지하면서 관련 없는 반응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반응 유형 중 인정하기를 포함한 아동의 발성을 이끌어내거나 의미 있는 언어 표현으로 반응해주는 유형(language-expectant)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음절성 옹알이 이후에 의미 있는 언어 표현으로 반응해주는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부모가 언어이전기부터 아동의 발성 유형에 따라 다르게 반응함을 보여주고 있다. 부모의 후속 반응과 아동의 말-언어발달과의 관계는 언어중재 프로그램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rents’ responses and response types that appear after infants’ vocalization based on the interaction data between parents and infants which were collected in a natural environment. Methods: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LENA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from 20 infants aged 8 to 9 months and their parents. Twenty 5-minute recorded data with the highest child vocalization rate were analyzed. Infants’ vocalizations were classified into canonical babblings and non-canonical babblings depending on whether they included consonant-vowel syllables. Parental responses were divided into no-response, contingent response, and non-contingent responses related to the infant’s vocalization. The contingent responses were subdivided into eight types of responses. Results: Although the no-response proportion was the highest, contingent responses related to the infant’s vocalization were also higher than non-contingent responses, accounting for 24.51% of all interactions. Among the response’ types, parents often used language-expectant types that elicit the infant’s vocalization and provide verbal modeling or input including acknowledgment. In particular, language-expectant types appeared more frequently following canonical babblings than non-canonical babbling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rents respond differently depending on infants’ types of vocal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tingent responses and infants’ speech-language development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유란(Yuran Lee),하승희(Seunghee Ha). (2021).Parental Responses to Infants’ Prelinguistic Vocaliz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 13-21

MLA

이유란(Yuran Lee),하승희(Seunghee Ha). "Parental Responses to Infants’ Prelinguistic Vocalizatio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1(2021): 1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