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Impact of Emotional Processes on Stuttering in Young School-Age Children Who Do and Do Not Stutter

이용수 69

영문명
저학년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정서처리에 따른 비유창성 연구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혜원(Haewon Kim) 최다혜(Dahye Choi) 심현섭(Hyun Sub S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1, 206~218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저학년 학령기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정서처리(emotional reactivity와 emotional regulation)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서를 일으키는 요인에 따라 비유창성이 증가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말더듬 아동 12명, 일반 아동 13명이었다. 정서처리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어 버전 CBQ-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CBQ-간편형 척도는 정서처리를 세 가지 상위요인(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로 나누어 검사하였다. 대상자들은 정서 스트레스 요인(중립, 긴장, 기쁨, 좌절) 과제 후에 글자 없는 그림책으로 이야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1)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간 세 가지 상위요인(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은 정서처리의 세 가지 상위요인과 비유창성 비율(SLD, OD)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좌절’과 ‘중립’ 상황 간 말더듬 아동은 SLD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일반 아동은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말더듬 아동은 정서처리에 있어서 일반 아동과 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말더듬 아동의 말산출체계가 좌절 상황에서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말더듬 아동의 유창성은 좌절되는 감정으로 인해 방해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processes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hildren who do not stutter (CWNS). In addition, we attempted to explore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emotion-eliciting conditions increase stuttering in CWS and CWNS. Methods: Twelve young school-age CWS and thirteen young school-age CWN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Short Form (CBQ-SF)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motional processes (i.e., three factors: Surgency, Negative Affectivity, & Effortful control).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series of tasks that were designed to elicit emotions such as neutral, anxiety, pleasure, and frustration. After each task, the participant was asked to tell a story based on a wordless picture book. Results: Findings indicated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factors of emotional processes between CWS and CWNS; (2)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emotional processes and speech disfluency rates (i.e., other disfluencies, OD and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in CWS and CWNS; and (3)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LD between the frustration and neutral conditions for CWS but not for CWNS.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CWS are not necessarily different from CWNS in emotional reactivity and regulation, CWS’s speech system seems to be vulnerable to a frustrating situation and their speech fluency is more likely to be disrupted by the frustrating emo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원(Haewon Kim),최다혜(Dahye Choi),심현섭(Hyun Sub Sim). (2021).The Impact of Emotional Processes on Stuttering in Young School-Age Children Who Do and Do Not Stutter.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 206-218

MLA

김혜원(Haewon Kim),최다혜(Dahye Choi),심현섭(Hyun Sub Sim). "The Impact of Emotional Processes on Stuttering in Young School-Age Children Who Do and Do Not Stutter."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1(2021): 206-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