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이용수 173

영문명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아동의 사회성 기술 및 집행기능과 이야기 이해 능력 간의 관계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문주희(Juhee Mun) 임동선(Dongsun Y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6. no.1, 34~53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사회성 기술과 집행기능은 타인과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는데 필요하며, 이들은 언어능력과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성 기술, 집행기능,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을 비교하고, 사회성 기술과 집행기능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해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4-7세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14명과 일반아동 19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 유아 사회성 기술 검사(K-SSRSP; 윤치연, 2012)와 집행기능 및 이야기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 집단 간 주효과와 사회성 기술 영역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집행기능 중 억제 과제 및 전환 과제와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수행력이 일반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은 일반아동의 경우 갱신 과제 수행력,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경우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정서표현 점수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사회성 기술, 억제 및 전환 능력, 이야기 이해 능력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이들의 사회성 기술 중 문제해결과 정서표현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 및 중재 시 또는 부모나 주양육자 등 비전문가에게 제언할 시 사회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kills (problem solving, emotional expression, sense of order, and confidence), executive function (updating, inhibition, and shifting), and story comprehen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if social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 predict the performance i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in each group. Methods: A total of 33 children (14 children with SLI and 19 TD children) aged 4 to 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s assessed their children’s social skills using the Korean-Social Skill Rating Scale for Preschoolers (K-SSRSP). Children performed the tasks of executive function and story comprehension. Results: Children with SLI receiv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D children on the K-SSRSP. Also, children with SLI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than TD children in inhibition, shifting and story comprehension tasks. In TD childre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ory comprehension ability and upda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SLI, story comprehension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expression. Moreover, in TD children, updating 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in children with SLI, the factors predicting their story comprehension ability were found to be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expression among social skills. Conclusion: These results present the necessity to look into the social skills when evaluating and intervening with children with SLI or when advising non-experts such as parents or caregiv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주희(Juhee Mun),임동선(Dongsun Yim). (2021).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 (1), 34-53

MLA

문주희(Juhee Mun),임동선(Dongsun Yi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kills, Executive Functions, and Story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6.1(2021): 34-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