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실을 경험한 음악치료사의 애도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886

영문명
Art-based Autoethnography on the Grieving Process of a Music Therapist with Experience of Bereavement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김다롱(Darong Kim) 임지연(Jiyeon lim) 김동민(Dongmin Ki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7권 제1호, 317~35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아버지를 상실한 음악치료사가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고 성찰하는 것을 통해 개인적·전문적 성장을 도모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술기반연구와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으로 연구자의 직업적 발달 과정을 분석하고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청소년기에 아버지를 상실하는 경험을 하였다. 청소년기에 경험한 ‘상실’이라는 외상사건은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기보다 억압하게 만들며, 외부상황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이는 애도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둘째, 연구자는 연구과정에서 아버지 상실과 관련하여 억압했던 슬픔, 죄책감, 분노, 불안의 감정들을 표출하였다. 이는 애도의 시작이며 애도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임을 시사한다. 셋째, 연구자는 상실의 치유과정을 통한 개인적 성장과 전문적 성장을 이야기하였다. 개인적으로는 ‘외상 후 성장’ 경험과 전문적으로는 역전이를 인식하고, 자기성찰에 대한 민감성을 바탕으로 깊은 공감을 제공할 수 있는 ‘상처입은 치유자’의 발달 경험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Stroebe와 Schut(1999)의 이중과정 모델에 따라 연구자의 직접적인 경험을 제시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상처입은 치유자’인 음악치료 전문가로서 자기성찰이 가지는 의미와 치료사 발달 과정에 대한 생생한 정보제공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in which a music therapist, who lost her father in adolescence, seeks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by healing and reflecting on her trauma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and identified the occupation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author, based on the methodology of art-based research and auto-ethnograph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experienced the death of father in her adolescence, the time when her self-identity was formed. This traumatic event of bereavement in adolescence made the author oppress rather than - openly express feelings and adapt to external situations. This not only delays grieving, but also affects adolescents’ sense of self-identity. Second, the author expressed long-oppressed feelings of sorrow, guilt, anger, and anxiety from her paternal bereavement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is is the first stage of grieving and the most crucial element in the grieving process. Third, the author reviewed her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the process of healing from bereavement. The author perceives ‘post-traumatic growth’ at personal level and counter-transference at professional level, demonstrating the developmental experience as “a wounded healer” who can provide profound empathy based on sensitivity on self-refl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the first-hand experience of the author according to the dual process of coping, theorized by Stroebe and Schut (1999); it also discussed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as a music therapist and a wounded healer, as well as vivid insight into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 therapist.

목차

I. 들어가며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다롱(Darong Kim),임지연(Jiyeon lim),김동민(Dongmin Kim). (2021).상실을 경험한 음악치료사의 애도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7 (1), 317-351

MLA

김다롱(Darong Kim),임지연(Jiyeon lim),김동민(Dongmin Kim). "상실을 경험한 음악치료사의 애도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7.1(2021): 317-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