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시에서 연령에 따른 소아안과적 임상소견의 비교

이용수 9

영문명
Comparison of Clinical Features in Children with Hyperopia
발행기관
대한검안학회
저자명
임지원(Ji Won Lim) 최정훈(Jeong Hoon Choi) 나경익(Kyeong Ik Na) 이주연(Joo Yeon Lee)
간행물 정보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Vol.11 No.1, 71~77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원시에 의해 나타나는 안과적 소견들이 연령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 4∼20세 사이의 원시 환자 144명의 임상 기록지를 통해 총 296회의 검사결과 자료를 검사연령에 따라 4세, 6세, 9세, 12세의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들에서 원시 정도, 부등시, 사시 및 약시유무, 입체시력 등의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군별 원시 정도 및 사시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사시 종류는 조절내사시가 가장 많았으나 연령대가 높을수록 조절내사시 비율이 줄고 외사시와 미세사시가 많았다(p=0.047). 높은 연령대일수록 약시와 입체시 저하를 보이는 비율은 감소하였다(p=0.016, p=0.001). 저연령군(4세, 6세)에서는 사시유병률이 약시유병률의 관련 인자였으나(p=0.03), 고연령군(9세, 12세)에서는 사시유무가 아니라 사시의 종류가 약시 및 입체시 저하에 경계성의 또는 유의한 연관 인자였다(p=0.053, p=0.033). 약시환자와 입체시가 낮은 환자에서 다른 환자들에 비해 조절내사시 비율은 줄고 외사시나 한눈주시증후군의 비율은 증가하였다(p=0.053, p=0.001). 결론: 고연령 원시환자에서도 평균 원시정도는 저연령에 비해 낮지 않았다. 고연령 원시환자에서 약시와 입체시력은 많이 개선되지만 남아있는 약시와 입체시 저하는 특히 외사시 및 미세사시(한눈주시증후군)와 연관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in children with hyperopia according to age difference. Methods: Clinical datas from 296 visits in 144 patients with hyperopia were obtained retrospectively. We divided the datas into four groups; 4 years, 6 years, 9 years and 12 years. The degree of hyperopia, the prevalence of anisometropia and amblyopia, the prevalence and type of strabismus and stereopsis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degree of hyperopia and the prevalence of strabismu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four groups. The proportion of accommodative esotropia that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trabismus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exotropia and microtropia increased in older groups (p=0.047). The prevalence of amblyopia and poor stereopsis fell in older groups (p=0.016, p=0.001). The prevalence of strabismus amblyopia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amblyopia in the groups of 4 and 6 years (p=0.03). The type of strabismus showed borderline or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valence of amblyopia and poor stereoacuity (p=0.053, p=0.033) in the groups of 9 and 12 years, but the prevalence of strabismus didn’t. The proportion of accommodative esotropia was lower and that of exotropia and microtropia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mblyopia (p=0.053) or poor stereoacuity (p=0.001) than in the rest of patients. Conclusions: Mean degree of hyperopia in older children was not different from younger children under 8 years old. Amid improvement of the ambryopia and streoacuity, persistent amblyopia and poor stereoacuity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exotropia and microtropia (monofixation syndrome) in older children.

목차

서 론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원(Ji Won Lim),최정훈(Jeong Hoon Choi),나경익(Kyeong Ik Na),이주연(Joo Yeon Lee). (2012).원시에서 연령에 따른 소아안과적 임상소견의 비교.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11 (1), 71-77

MLA

임지원(Ji Won Lim),최정훈(Jeong Hoon Choi),나경익(Kyeong Ik Na),이주연(Joo Yeon Lee). "원시에서 연령에 따른 소아안과적 임상소견의 비교."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11.1(2012): 7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