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안장애 증상완화에 관한 연극치료 고찰

이용수 767

영문명
A Study on Drama Therapy Focusing on Alleviating Anxiety Disorder Symptoms in Adult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박미리(Park, Mi Ri)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14호, 33~6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연극치료 임상 작업의 진행 과정과 결과에 객관성과 타당성을 제시할 수 있는 구조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불안장애 성인의 증상 완화를 위한 연극치료 사례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불안장애 증상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극치료 개인 작업은 어떤 외적 환경이 적절할 것인가? 둘째, 불안장애 증상은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 셋째, 불안장애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연극치료 개입이 효과적인가? 연극치료 작업의 외적 환경은 치료환경과 생활환경의 긴밀한 관계맺음과 소통, 참여자와 유사한 증상을 경험한 보조치료사와의 협업이 이상적임을 알았다. 또한 불안장애의 일반적인 증상과 연극치료 작업에서 드러나는 행동은 표면적으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지만, 연극치료에서 다양한 역할 연기를 경험하는 가운데 일상과는 다른 내면의 모습들이 그대로 드러남을 알았다. 또한 인지행동치료에서 핵심문제로 다루는 부정적인 자기상, 정서 부조화, 감정표현 불능증 등은 연극치료의 체현투사역할의 단계를 경험하고 자기연민의 감정을 회복함으로써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tructure which presents objectivity and validity to the progress and result of drama therapy. To achieve this main aim, it examines qualitative analysis of drama therapy cases for alleviating symptoms in adult with anxiety disorders. Following questions are discussed: which external environment would be appropriate in individual drama therapy cases for alleviating anxiety disorder symptoms; how anxiety disorder symptoms are presented during drama therapy sessions; which drama therapeutic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to alleviate anxiety disorder symptoms. Findings suggest that an ideal external environment for drama therapy involves a close link and communication between clinical and living conditions. It was also essential to cooperate with assistant therapists who had similar experiences with clients to produce more effective results. General anxiety disorder symptoms showed similar patterns in drama therapy sessions. However, some distinctive inner self-images of clients were also found during various role-playing experienc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self-images, cognitive and emotional dissonance, and Alexithymia, widely discussed in cognitive behaviour therapy, could be benefited by experiencing embodiment-projection-role in drama therapy and recovering self-p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극치료 작업으로 본 불안장애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리(Park, Mi Ri). (2021).불안장애 증상완화에 관한 연극치료 고찰. 연극예술치료연구, (14), 33-63

MLA

박미리(Park, Mi Ri). "불안장애 증상완화에 관한 연극치료 고찰." 연극예술치료연구, .14(2021): 33-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