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의 벽제관 전적지 개발과 활용

이용수 169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Byeokjegwan Battle Site by the Ruling Japanes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韓圭茂(Han, Kyu-moo)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78집, 115~13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군 벽제관의 개발과 활용을 시국의 변화와 연계하여 살펴본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최대의 승전지인 벽제관은 일제에게 매우 소중하고 유용한 고적이었다. 그 때문에 일찍부터 통감부와 총독부 관리들의 시찰과 군인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특히 일제의 고적조사 및 보존사업과 연계되어 1911년 벽제관보존회가 조직되었으며, 1915년 시정5주년 조선물산공진회를 앞두고 벽제관 고적보존회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벽제관 일대 도로 및 교통 시설이 확충되고 시장과 금융조합이 신설되며 녹화사업이 전개되는 등 개발이 추진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 직전 전적기념비건설기성회가 조직되었으며 1933년 벽제관전적기념비가 건립되면서 벽제관은 더욱 주목받았다. 같은 해 일제는 벽제관을 ‘기념지’·‘유원지’·‘유람지’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했으며 녹화사업과 함께 도로와 교통 시설의 확충과 전등 가설 등이 추진되었다. 그리고 경찰관주재소와 면사무소도 벽제관 앞으로 신축·이전하여 벽제관 일대가 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일대에서 군사훈련도 실시되고 일황을 위한 관민 기념식이 거행되는 등 벽제관은 황국신민화를 위한 선전장으로도 활용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전시체제 홍보장으로서 벽제관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 각종 강연회·기념식·강습회·추도식 등이 개최되었으며, 군인들의 방문과 훈련도 이어졌다. 건물도 중수되었고, 도로방의 완비와 함께 교량도 가설되었다. 그리고 전시체제기임에도 하이킹 코스로 개발·홍보되어 관람객이 답지했다. 벽제관고적보존회의 명칭도 1940년대에 들어 벽제관전적보존회로 바뀌어 군국주의적 색채를 더욱 짙게 나타냈다. 요컨대 벽제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고적 조사 및 보존, 자신들의 성지 발굴 및 관광지·유원지 조성, 황국신민화의 선전장 개발 등 각종 정책이 어우러져 각광을 받은, 일제 식민통치정책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는 역사적 장소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Byeokjegwan in Goyang-gun,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rule by connecting it to the changing state of affairs. Byeokjegwan was the place where Japan won the biggest victory during Imjinwaeran, which means that it was a very significant and useful historical place to the ruling Japanese.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and Government General of Korea started early to dispatch their officials and soldiers to the place for inspection. In 1911, they formed Byeokjegwan Preservation Committee in connection with their historical place investigation and preservation projects. In 1915, they transformed it into Byeokjegwan Historical Place Preservation Committee before the exhibition of Joseon’s local products in commemoration of Japan’s fifth year of ruling of Korea. In addition, they expanded the road and traffic facilities around the place, created a new market and financial association, and developed an afforestation program as parts of their development efforts. In 1931, they organized a preparatory associ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battle site monument right before the Manchurian Incident. After the completion of Byeokjegwan battle site Monument in 1933, Byeokjegwan attracted even more attention. The ruling Japanese made a plan to build a ‘memorial’, ‘amusement park’, and ‘pleasure resort’ around Byeokjegwan in the same year and worked on the expansion of road and traffic facilities and the installation of lights along with the afforestation project. In addition, the police station and Myeon office were newly constructed or moved to the location before Byeokjegwan, which allowed it to develop 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It was also utilized as a propaganda site for the colonial policy of subjecting to Japan as they did military training and held a government-people celebration ceremony for the Japanese emperor. The roles of Byeokjegwan were reinforced even further as a promotional site of war basis system after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in 1937. All sorts of lectures, celebration ceremonies, short courses, and memorial services were held there with the continuance of soldiers’ visits and training. The building was remodeled, the road facilities were completed, and a new bridge was constructed around the place. Even though it was during a war, the ruling Japanese developed and promoted a hiking course around it, thus attracting visitors. Entering the 1940s, they changed Byeokjegwan Battle Site Preservation Committee to Byeokjegwan Victory Preservation Committee and displayed their militaristic nature more strongly. In short, Byeokjegwan got the spotlight during the Japanese rule in the mix of all kinds of policies including the historical place investigation and preservation, excavation of sacred place, creation of a tourist destination and amusement park, and development of propaganda site for the colonial policy of subjecting to Japan, reflecting the various aspects of Japan’s colonial ruling policies as a historical place

목차

1. 머리말
2. 벽제관고적보존회의 조직과 조선물산 공진회(1915)
3. 만주사변(1931) 이후 벽제관전적기념비 건립과 일대 개발
4. 중일전쟁(1937) 이후 벽제관과 일대의 전시체제 활용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韓圭茂(Han, Kyu-moo). (2016).일제의 벽제관 전적지 개발과 활용. 한국근현대사연구, 78 , 115-136

MLA

韓圭茂(Han, Kyu-moo). "일제의 벽제관 전적지 개발과 활용." 한국근현대사연구, 78.(2016): 115-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