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전후 귀속 제약회사의 동향과 한국 제약업

이용수 35

영문명
Trends of Vested Pharmaceutical Firms and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朴潤栽(Park Yunjae)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78집, 231~26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의 제약회사들은 1920년대를 거치면서 식민지 조선에 공장이나 지점을 설치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30년대 이후 만주와 중국에 진출하는 발판으로 일종의 분공장 형식의 시설을 설치하였다. 종전 직전까지 자본액만 151만 원이 넘는 회사가 3개에 이를 정도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회사들은 해방이라는 변화 속에서 한국 제약업의 발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었다. 하지만 귀속업체들은 1940~1950년대를 거치면서 쇠퇴 혹은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기존 연구는 그 이유로 인수자들의 무경험을 지적하였다. 규모가 큰 제약회사들이 제약업 무경험자들에 의해 인수되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제약업경험 여부는 회사의 성패를 가름하는 결정적인 요소라기보다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결정적 요소는 미국의 의약품과 재정 원조였다. 해방 후 대규모이자 급속도로 유입된 항생제는 제약업의 환경을 변화시켰다. 제약업은 항생제 제조를 중심으로 재편되기 시작했고, 귀속업체들이 가지고 있던 기술이나 설비는 장점을 발휘할 수 없었다. 한국전쟁은 서서히 자립을 모색하던 제약회사들을 좌절시키는 다른 요소였다. 제약회사들의 운명을 결정지은 가장 큰 요소는 미국의 원조였다. 1950년대 중반부터 배분되기 시작한 ICA 자금은 한국제약업이 부흥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였다. 하지만 이 자금 배분에서 귀속업체들은 소외되었을 뿐 아니라 적절한 운용에도 실패했다.

영문 초록

Japanese pharmaceutical firms entering the colonial Korea between the 1930s and the 1940s when the war was being expanded around the world could become a foundation of growth of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after the liberation because the firms were large-scaled with superior facilities. However, activities of the vested firms fell short of expectations due to several factors. First, the accepters were inexperienced: the large-scaled pharmaceutical firms were taken over by those who had little experience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Second, antibiotics introduced after the liberation rapidly and in quantity altered the pharmaceutical environment.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n Korea began to be reorganized with production of antibiotics as its center, indicating that the technology and the facilities of the vested pharmaceutical firms were of little avail. The Korean War acted as another factor because of which the pharmaceutical firms slowly seeking for self-support were discouraged. During the war, around 80% of their facilities were destroyed. The biggest factor that determined the fate of the firms was the assistance from the United States. The ICA funds that had been distributed since the mid 1950s were an important chance for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to revive, but the vested firms were excluded from the financial distribution because their relative advancement from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was vanished after the Korean War.

목차

1. 머리말
2. 일본 제약업의 성장과 조선 진출
3. 귀속 제약회사의 불하와 인수인의 제약 경험
4. 항생제의 유입과 ICA 원조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潤栽(Park Yunjae). (2016).해방 전후 귀속 제약회사의 동향과 한국 제약업. 한국근현대사연구, 78 , 231-260

MLA

朴潤栽(Park Yunjae). "해방 전후 귀속 제약회사의 동향과 한국 제약업." 한국근현대사연구, 78.(2016): 231-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