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양주체의 중국 재현

이용수 603

영문명
Chinese representation of the Oriental subjects: the Other, Displacement, Self-Orientalism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오연(Wu Juan)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45호, 254~273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동양 속 중국의 정체성을 재조명하고, 그 정체성을 둘러싼 담론들을 통해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할리우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국계 영화감독 웨인 왕의 영화 <조이 럭 클럽(1993)>, 한국 감독 송해성의 영화 <파이란(2001)>, 그리고 중국 감독 장이머우의 영화 <홍등(1991)>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세 영화에서 중국은 타자로 존재하며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타자의 유형을 도출했다. 즉 이항대립적인 타자, 응시 받지 못한 타자, 서발턴화된 타자다. 세 유형의 타자는 전치를 통해 재맥락화되지만 정체성 형성에는 실패한다. 영화에서는 중국의 타자성을 구축함에 있어서 여성에 관심을 두며 여성의 정체성은 바로 중국의 정체성, 동양의 정체성을 대표한다. 전치되는 과정에서 여성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 상실, 병태(病態)는 동양 속 셀프-오리엔탈리즘의 담론을 구성하며, 이러한 담론을 둘러싼 갈등들은 다양한 장치를 통해 은폐된다. 영화에서의 중국 재현은 사실 중국의 ‘국적 기능(nationality-function)’을 사용한 동양 내부의 ‘셀프-오리엔탈라이징(self-orientalising)’이다.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오리엔탈리즘과 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것을 도구 삼아 그 속에 깊이 편입하게 되었다. 서양의 관점을 인정해서 서술하거나 동양 속 다른 나라를 타자화하고, 스스로 상상하는 것이다. 결국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흉내 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흉내 내기의 이면에 있는 의도는 서양의 인정을 바라는 것으로, ‘상호 인정의 세계’에 대한 모색이다. 하지만 흉내 내기는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지 못한다. 결국, 서양인들에 잠재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은 동양인 안에 자리하고 있는 셀프-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부터 시작해야 하며, 탈오리엔탈리즘을 위해서는 먼저 셀프-오리엔탈리즘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re-examine China s identity in the East and analyze the self-orientalism of the Orient through the discourse surrounding its ident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film by Chinese-American director Wayne Wang who is active in Hollywood, by South Korean director Song Hae-sung, and by Chinese director Zhang Yi-Mou. In these three movies, China exists as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Other, which are the dual antagonistic one, the untargeted one, and the subordinate one. The three types of Other are recontextualized through displacement, but fail to be integral. The films use women to construct China’s otherness, the identity of women represents the identity of China, also the identity of the orient. The identity confusion, loss and morbidity experienced by women in the process of displacement constitute Eastern self-oriented discourse, and the conflicts surrounding this discourse are concealed by various means. The image of China in the film is actually a self-orientalising within the East by using Chinese ‘nationality-function’. The Eastern self-orientalism failed to counter Western orientalism. Therefore, the image of China i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st, or viewed as a foreign country within the East for free imagination. After all, Eastern self-orientalism is an mimicry of Western orientalism. The purpose of this kind of imitation is a way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West so that to seek a world of mutual recognition. However, mimicry will no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Finally, criticisms of orientalism should begin with criticisms of Eastern self-orientalism. For post-orientalism, we must first get rid of self-orientalism.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화교가 본 중국: 이항대립적인 타자
3. 한국이 본 중국: 응시 받지 못한 타자
4. 중국이 본 중국: 서발턴화된 타자
5. 트랜스 아이덴티티와 셀프-오리엔탈리즘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연(Wu Juan). (2020).동양주체의 중국 재현. 글로벌문화콘텐츠, (45), 254-273

MLA

오연(Wu Juan). "동양주체의 중국 재현." 글로벌문화콘텐츠, .45(2020): 254-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